매일신문

[대구경북혁신도시10년] 대구시, 2차 이전 공공기관 유치위한 민관협의체 구성…"전방위적 활동 추진"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매일신문 DB

2차 공공기관 이전 쟁탈전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대구시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민간 주도로 공공기관 유치 활동에 나선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2차 공공 기관 이전 계획 수립에 대한 의지를 밝힌 데다, 10월이면 국토교통부의 '혁신도시 성과 평가 및 정책 방향' 연구용역 결과가 발표되기 때문이다.

26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위원회'(가칭)를 구성하고 본격 활동을 위한 'Kick-off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유치위원회는 시와 경제, 산업, 학계, 시민, 언론 등 22명으로 구성한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과 민간 위원 1인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대구시에서는 오준혁 대구시 기획조정실장도 참여하며, 시의회, 경제계, 기업지원, 시민단체, 언론, 학계 등 19명의 위원도 참여한다. 특히 시도 실무추진단을 꾸려 협의체를 지원한다.

이들은 정부의 국정과제 선정 및 10월 용역이 마무리되는 국토부의 기본 계획 발표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유치 전략을 논의한다. 국토부는 지난 2023년 '혁신도시 성과 평가 및 정책 방향' 연구 용역을 발주했고, 곧 결과가 나온다. 이번 용역 결과에는 1차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에 대한 평가와 2차 이전 대상지 선정 기준 등이 담겨 있다.

앞서 지난 달 3일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균형발전에 2차 공공기관 이전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부처가 정비가 되면 계획을 수립해 보겠다"고 밝힌 데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도 인사청문 과정에서 "장관으로 취임하게 된다면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한 바 있어 이번 발표 이후 2차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협의체 회의를 바탕으로 각 위원들은 언론·학회에 기고문 및 칼럼을 게재하는 등 적극적으로 유치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특히 2차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대구에 유치하기 위해 국회 방문은 물론, 관련 기관협의 등 전방위적인 유치 활동도 추진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시와 주요 민간단체로 구성한 민관협의체를 운영해 민간 주도의 공공기관 유치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치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