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 뒤 브리핑에서 "가능하다면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도 추진해 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의 제안(提案)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매우 슬기로운 방안"이라면서 "당신은 전사다. 당신은 미국으로부터 완전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다"는 말로 친밀감(親密感)을 표시했다고 했다. 또 "당신은 위대한 사람이고 위대한 지도자다. 한국은 당신과 함께 더 높은 곳에서 놀라운 미래를 갖게 될 것이다. 난 언제나 당신과 함께 있다"는 메시지를 직접 써서 이 대통령에게 건네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뿐 아니라 대통령실·정부 인사들 모두 후하게 대접받으면서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회담을 마무리했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입장이다.
하지만 회담을 마친 뒤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이례적으로 이 대통령 일행에 대해 직접 환송(歡送)하지 않았다. 이 대통령 부부의 워싱턴 DC 앤드루스 공군기지 도착 당시 미 정부의 고위급 관료가 단 한 명도 환영(歡迎)하지 않았고, 의전 차량 역시 구형 모델로 제공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방문국 국가원수들이 묵는 영빈관인 블레어하우스를 제공하지 않았던 홀대(忽待)가 정상회담 마지막 순간까지 이어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한미 정상회담 전반에 대한 대통령실의 해석과 미국 측 태도·대응이 사뭇 달라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직전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마치 숙청(肅淸)·혁명이 일어난 것 같다. 우리는 그런 상황을 용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을 할 수 없다"는 글을 올려 파문(波紋)을 낳았다. '숙청'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교회 및 오산 미군기지 압수수색'을 언급하자, 이 대통령이 설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오해겠지"라며 얼버무렸다. 그런데 영국 BBC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의 '숙청' 발언은 '윤석열 대통령 구속'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전 세계에 타전했다.
대통령실은 굳이 공동 합의문이 필요 없을 정도로 잘된 회담(會談)이었다는 입장이다. '안보 청구서' '동맹 현대화' '농축산물 추가 개방' 등이 의제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지만, 강 대변인은 "그조차도 얘기가 안 될 정도로 분위기가 좋았다"며 "처음엔 분명히 무역 얘기부터 하자고 했는데 얘기가 다 사라지고 두 정상의 친밀하고 사적인 얘기들로 회담이 진행됐다"고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한국 측에서 무역 합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원래대로 하기로 했다. 관세 협상은 끝났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쌀과 30개월 이상 쇠고기를 포함한 농축산물 시장의 완전 개방, 3천500억달러 투자 수익 배분 등 그동안 미국 측과 한국 측의 설명이 서로 달랐던 부분은 미국 측 입장이 그대로 관철(貫徹)되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통령실은 "농산물 추가 개방과 주한미군 감축 등의 얘기는 회담 중 나오지 않았다"고만 했다. 쌀·소고기는 완전 개방되는지, 대미 투자 수익은 어떻게 배분되는지, 아직 25% 그대로인 자동차 관세는 언제 15%가 되는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어떤 결론(結論)이 났고 성과(成果)는 무엇인지 국민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무조건적인 회담 성공 홍보가 아니라, 정상회담의 진실(眞實)을 국민은 알권리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