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그룹,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탈탄소 비전 및 관련 기술 역량 선봬

수소환원제철기술 부터 로봇, 에너지 강재 등 그룹 미래 사업 소개

27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포스코그룹 전시관 전경. 포스코 제공
27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포스코그룹 전시관 전경. 포스코 제공

포스코그룹이 꿈꾸는 탈탄소 비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역량이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선보인다.

27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이날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참석해 포스코홀딩스, 포스코, 포스코인터네셔널과 함께 통합 전시관을 운영한다.

특히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에너지 슈퍼위크(25~ 29일)'와 연계해 인공지능(AI) 시대가 가져올 미래 에너지 혁신 기술 소개에 집중한다.

포스코그룹이 마련한 전시관은 ▷탈탄소 비전 ▷수소환원제철 ▷브릿지 기술 ▷인텔리전트 팩토리 ▷에너지전환 등 5개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역점을 둔 탈탄소 비전 공간은 수소환원제철 기술부터 탄소감축 브릿지 기술, 에너지 전환에 이르는 그룹의 탈탄소 전략 등을 담고 있다.

수소환원제철 공간은 석탄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 '하이렉스'를 소개한다.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올해 6월 정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으로써, 포스코그룹은 2030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기술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브릿지 기술 공간은 저탄소 연원료 활용·전기로 도입·CCUS(탄소포집·저장·활용) 실증 기술을, 인텔리전트 팩토리 공간은 AI 기반의 스마트 고로·지능형 로봇 활용 기술 등을 공개한다.

인텔리전트 팩토리 공간은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설비 점검을 하는 '4족 보행 로봇'을 통해 안전한 제철소 구현을 위한 활동을 엿볼 수 있다.

에너지·소재 사업을 종합 소개하는 에너지 전환 공간은 수소혼소발전소로 단계적 전환을 추진 중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인천 LNG 복합 발전소를 비롯해 포스코가 개발·공급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고내식 합금도금강판 포스맥(PosMAC)과 LNG·액화수소 탱크용 고망간강 등 다양한 에너지 강재의 상세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탈탄소 전환은 그룹의 미래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기회로 삼고 있다. 앞으로 기술 개발·설비 투자·에너지 조달 등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탈탄소 전략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그룹 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