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 4년간 25% 급증

통계청이
통계청이 '5월 고용동향'을 발표한 11일 경기도 하남종합운동장 제2체육관에서 열린 2025 하남시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피고 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916만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4만5천명 증가했다. 특히 37만명 증가한 60세 이상 취업자는 처음으로 700만명을 넘었다. 연합뉴스

지난 4년간 국내 대기업 기간제 근로자가 2만명 이상 늘어나며 증가율이 25%대를 기록했다.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지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근로자 수는 올해 6월 기준 132만4천494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천259명으로 전체의 7.8%였다. 2021년 6월과 비교해 전체 근로자가 4만7천482명(3.7%) 늘어나는 동안 기간제 근로자는 2만1천95명(25.7%) 증가했다.

지난 4년간 기간제 근로자가 전체 임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에서 7.8%로 1.4%포인트(p) 늘었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이었다. 삼양식품은 2021년 6월 기간제 근로자가 전체의 2.2%에 불과했으나, 올해 6월에는 25.6%로 비율이 23.4%p 뛰었다.

대표 상품인 '불닭볶음면'이 인기를 끌면서 생산직 기간제 사원 채용이 급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삼양식품의 생산부문 정규직은 4년간 69명 증가한 반면 기간제 근로자는 600명 늘었다.

이어 한국씨티은행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5.2%에서 28.3%로 23.1%p 커졌고, 메리츠금융지주가 25.0%에서 46.2%로 21.2%p 상승했다. HD현대미포도 같은 기간 1.6%에서 22.5%로 20.9%p 늘었다.

CEO스코어 관계자는 "씨티은행은 지난 2021년 한국 시장에서 소비자금융 부문을 철수한 이후 희망퇴직한 인원을 단기계약직으로 다시 채용한 탓에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급증했다"며 "증권사는 영업직군 등에서 판매 실적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는 제도 때문에 타 산업군과 달리 고소득 계약직 직원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차량 제조사 대동이었다. 대동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28.1%에서 올해 6월 10.2%로 17.9%p 감소했다.

이어 자이에스앤디(17.1%포인트↓), HD현대케미칼(16.6%포인트↓), 팬오션(14.8%포인트↓)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