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의 2028년 상용화 목표를 공식 선언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선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29일 서울에서 강희업 국토부 2차관 주재로 'UAM Team Korea'(UTK) 제8차 본협의체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글로벌 UAM 시장 침체 상황에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운용개념서(ConOps) 개정안과 기술경쟁력 강화 방안, UTK 운영체계 개편안 등 상용화 준비 전략이 집중 논의된다.
정부는 K-UAM 운용개념서를 기존 1.0 버전에서 1.5 버전으로 개정해 운용모델을 다각화한다. 기존에는 도심 내 교통형 단일 모델을 중심으로 운송·교통관리·버티포트 등 3개 사업자의 의무 구성을 요구했으나, 개정안에서는 사업모델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통합 수행할 수 있도록 완화했다.
또 전용회랑 지정 준수와 5G 상용통신망 의무 사용 등 기술적 요구수준을 낮춰 민간 부담을 줄이고 초기 시장 개화를 지원한다. 비도심 관광형, 공항 연계형 등 다양한 상용화 모델도 운용개념서에 포함해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K-UAM 기술경쟁력 강화 방안'에는 2027년부터 2030년까지 4년간 총 3천549억원(국비 2천955억원)을 투입하는 내용이 담겼다. 안전성·경제성·수용성 등을 기반으로 선정한 145건의 중요기술을 5개 분야로 나눠 개발한다.
기체·부품 분야에서는 경량소재와 친환경동력원, 자율비행 기술 등을 집중 개발하고, 운용체계 분야에서는 AI 기반 교통관리와 고밀도 운항체계 구축에 중점을 둔다. 전국 3개소(전남 고흥·울산·수도권)의 테스트베드를 운영해 개활지부터 도심까지 단계적 실증을 지원한다.
UTK 운영체계도 230여 참여기관을 핵심기관과 일반기관으로 분류해 개편한다. 기관별 참여도와 기여도에 따라 핵심기관 위주로 본협의체를 구성하되, 모든 기관이 워킹그룹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부여해 실질적 협력체계를 강화한다.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 계획도 변경된다. 전 세계적인 기체 개발 지연을 반영해 헬기를 활용한 실증을 우선 추진하고, 사업모델 기반의 맞춤형 실증 체계를 도입한다. 킨텍스-대덕-수색비행장 노선을 중심으로 도심 내 상시 실증이 가능한 운영 환경도 구축한다.
정부는 또 대 안전이슈(조류충돌·빌딩풍·전파간섭·헬기·드론 운용·배터리 안전성) 5개 분야별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보완 대책을 공유할 예정이다.
강희업 국토부 2차관은 "UAM은 국민의 일상과 도시 공간을 바꿀 혁신적 교통수단으로, 안전과 신뢰를 최우선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정부는 규제혁신과 공공투자를 통해 민간의 혁신을 적극 뒷받침하고, K-UAM이 세계 시장의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정청래 "국힘, 정상회담 평가절하 이해 안돼…나라 망치라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