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들어 우리나라 성장세가 반등 흐름을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선방한 데다 소비심리가 개선되며 내수경제가 회복세를 보인다는 판단이다. 연간 성장률은 내년에도 1%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28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제시했다. 종전 전망치인 0.8%에서 0.1%포인트(p) 상향한 것이다. 이번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각각 제시한 0.8%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1.0%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 5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낮춘 상태였다. 이번에 성장률 전망치가 반등한 데는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등으로 인한 소비 회복세가 나타난 점이 주효했다. 올해 분기별 성장률 전망치는 1분기 -0.2%, 2분기 0.6%, 3분기 1.1%, 4분기 0.2%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한은은 올해 민간소비 성장률(1.4%)을 직전 전망치보다 0.3%p, 설비투자 성장률(2.5%)은 0.7%p 올려 잡았다. 재화수출(2.6%)과 재화수입(1.8%) 성장률도 각각 2.7%p, 1.6%p 높였다. 반면 건설투자 성장률 전망치는 -6.1%에서 -8.3%로 낮췄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6%를 유지했다. 내수 개선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 둔화 폭이 커질 가능성을 고려했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내수를 중심으로 성장률 개선세가 나타난 데 따라 기준금리는 연 2.5%로 유지하기로 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밝혔다.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금리 동결로 주택시장의 가격 상승 기대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오는 9월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방향을 결정한 후인 오는 10월 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날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총재 제외)은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고, 1명은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 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낮은 성장률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며 "오는 11월 경제전망 때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바뀌면 통화정책 기조도 그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정청래 "국힘, 정상회담 평가절하 이해 안돼…나라 망치라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