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8월 소비자물가 1.7% 상승…올해 최저 상승률

근원물가도 둔화해 수요압력 완화 신호…대구·경북 각각 1.6%·1.5%
신선식품 가격 반등·통신요금 인하가 물가흐름 좌우

1일 서울 종로구 한 가성비 식당으로 손님이 들어서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가구 먹거리 실질지출은 고물가 현상이 누적되며 2023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줄었다가 작년 4분기 1.8% 늘며 반등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증가율이 0.4%로 위축된 뒤 2분기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연합뉴스
1일 서울 종로구 한 가성비 식당으로 손님이 들어서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가구 먹거리 실질지출은 고물가 현상이 누적되며 2023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줄었다가 작년 4분기 1.8% 늘며 반등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증가율이 0.4%로 위축된 뒤 2분기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7%로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채소와 과일 등 신선식품 가격이 크게 반등했지만 통신요금 급락과 서비스 요금 하락이 전체 상승세를 억제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5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2020=100)로 1년 전에 비해 1.7% 상승했다. 7월(2.1%)보다 낮아진 수치로 올해 최저 상승률이다. 물가 상승률은 5월 1.9%에서 6월 2.2%로 반짝 올랐지만 7월 2.1%, 8월 1.7%로 다시 하락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4.8%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특히 채소류는 전월 대비 19.3% 급등했고 쌀(11.0%), 돼지고기(7.1%), 복숭아(28.5%) 등도 크게 올랐다. 8월 휴가철에 들어선 데다 민생소비쿠폰 발행으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공업제품은 1.7% 상승했고 전기·가스·수도는 0.3% 오르는 데 그쳤다.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1.3% 올랐으나 전달 대비로는 0.8% 하락했다. 국제항공료, 시내버스료 등 공공서비스 요금이 크게 낮아진 영향이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5% 상승해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았다. 식품 가격이 3.9% 오르며 상승세를 이끌었지만 식품 외 품목은 0.1% 하락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7.8% 급등, 1년 전보다도 2.1% 상승해 4개월 만에 다시 플러스로 전환했다. 5월 -5.0%로 급락했던 신선식품 물가가 6월 -1.7%, 7월 -0.5%를 거쳐 반등한 것이다. 기상 여건과 계절 요인에 따라 신선식품 가격 변동성이 여전히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근원물가 흐름도 눈에 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지수는 1년 전보다 1.3% 오르는 데 그쳐 7월(2.0%)보다 크게 둔화했다.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 역시 1.9% 상승에 그쳤다. 수요 측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부문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가 1년 전보다 4.9% 올랐고 음식·숙박(3.1%), 기타 상품 및 서비스(4.8%)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통신 요금은 작년보다 13.3% 급락해 물가 전체 상승세를 크게 제약했다. 일부 통신사의 50% 요금 감면에 따른 것으로, 휴대전화 요금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전 국민에게 통신비 2만원이 지원됐던 2020년 10월(-21.6%)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이다. 다만 이는 일회성 효과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부산, 울산, 경남이 1.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과 경기는 1.8%, 대전은 1.7%로 뒤를 이었다. 서울과 대구, 전북, 전남은 모두 1.6% 상승했고 경북은 1.5%로 나타났다. 제주는 1.3%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로는 경남만 0.2% 상승했고 대구와 경북을 포함해 대부분 지역이 보합 또는 소폭 하락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