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만 등 공급망에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스타트업들이 미국 관세 정책으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산하 KIC(Korea Innovation Center) 실리콘밸리가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ICT 스타트업 상황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ICT 스타트업 중 미국에 전자제품,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하드웨어를 수출하는 곳들은 우리나라에 부과된 관세 15% 이상을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기업이 중국 등 우리나라보다 관세가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있는 국가 부품을 쓸 경우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높은 관세는 스타트업의 미국 시장 진출과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미국 시장 외 동남아, 인도 등 신흥 시장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KIC의 설명이다.
아울러 중국 중심의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공급처를 확보하는 한편 내부 생산 역량 강화와 비용 절감책 마련을 주문했다.
또 관세 부과로 인한 상품 경쟁력 저하나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증가 외에 투자가 얼어붙을 수 있는 점도 우려했다. 무역 불확실성과 수익성 하락 우려로 인해 벤처캐피털 및 투자자의 ICT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가 저조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미국 내 제조 시설 확대를 추진하는 대기업들과 달리 스타트업은 자원과 자본 부족으로 현지화 정책 수립이 어려운 상황도 경쟁력 저하 요인으로 꼽혔다.
KIC 관계자는 "ICT 스타트업이 기술과 서비스 차별화를 통해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하는 한편 공급망 재편, 시장 다변화, 투자 유치 등에서 유연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