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7%를 기록하며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SK텔레콤의 요금 감면이 물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냈지만, 쌀과 돼지고기를 비롯한 농축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며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5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1월(1.5%) 이후 최저 수준이다. 물가 상승률은 올해 5월 1.9%에서 6월 2.2%로 반짝 오른 뒤, 7월 2.1%, 8월 1.7%로 두 달 연속 둔화됐다. 지난달 대구는 1년 전과 비교해 1.6% 상승했고, 경북은 1.5% '플러스' 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년 대비 4.4% 오르며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쌀은 산지 유통업체의 원료벼 확보 경쟁 심화로 11% 급등했고, 돼지고기도 국제 가격 상승 여파로 7.1% 올랐다. 한우는 지난해 공급 과잉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반면 배추·무 등 원예 농산물은 정부의 비축 물량 공급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과일은 폭염으로 출하가 늦어졌지만 추석 성수기에는 지난해보다 공급이 늘어날 전망이다.
서비스 물가는 1.3% 오르는 데 그쳤고, 전달 대비로는 0.8% 하락했다. 특히 통신요금이 전년 대비 13% 넘게 떨어지며 물가 상승세를 크게 제약했다. SK텔레콤이 해킹 피해에 따른 보상 차원에서 요금을 대폭 감면한 영향이다. 휴대전화 요금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전 국민에게 통신비 2만원이 지원됐던 2020년 10월(-21.6%)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이다.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물가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비축 물량 방출과 대규모 할인 행사를 예고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성수품 가격 안정을 위한 종합 대책을 이달 중 발표하기로 했다. 소고기와 돼지고기, 계란 등 축산물 할인행사가 이미 진행 중이며, 수산물·가공식품 등도 순차적으로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다.
지난달 농축산물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4.4% 급등한 만큼 연중 농축산물 수요가 가장 많은 추석 명절에 대비해 안정적 공급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취지다.
한국은행도 이번 물가 둔화를 일시적 현상으로 분석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지난달 물가는 통신요금 인하 효과로 낮아졌으나, 이는 일회성 요인"이라며 "이달에는 다시 2% 수준으로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낮은 수요 압력과 국제유가 안정세를 고려할 때 당분간 물가가 2%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