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역 기업 10곳 중 6곳 "주 4.5일제는 시기상조"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요약정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요약문은 AI가 작성했습니다. 기자가 직접 취재한 심층적인 이야기와 중요한 맥락은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구상의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지역기업 인식 및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대구지역 기업 10곳 중 6곳은 주 4.5일제 도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주 4.5일제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분위기가 팽배한 상황이다.

3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기업 444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지역기업 인식 및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67.9%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7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설업(52.4%)과 유통업(52.9%)도 부정적 인식이 절반을 상회했다.

주 4.5일제 부정적인 인식을 지닌 기업은 그 이유로 '생산성 저하'(42.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추가 인건비 부담'(23.4%), '인력 운영의 어려움'(14.6%), '업종별 적용 한계'(11.7%), '고객 응대 어려움'(5.8%) 등이 뒤를 이었다.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주 4.5일제에 대해 '도입 의향 없다'는 응답이 76.2%를 차지한 반면, '도입 의향 있다'고 답한 기업의 비율은 23.0%에 그쳤다. '이미 도입하여 시행 중'이라는 응답은 0.8%에 불과했다.

주 4.5일제 도입 시 기업 경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요소로는 '인건비'(32.8%), '납기'(25.9%), '생산성'(20.7%), '인력관리'(20.7%)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가장 필요한 정부·지자체 지원책(복수응답)으로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보전 장려금 지원'(50.1%)이 1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기업들은 '세제 혜택'(31.5%), '업무 프로세스 및 공정 개선을 위한 컨설팅'(8.5%)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상길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주 4.5일제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생산성 혁신과 함께 정부 차원의 임금보전, 세제 인센티브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며 "기업 경쟁력 유지와 일·생활 균형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