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불법체류자 단속 및 대규모 구금 사태가 해결의 가닥을 잡았으나 기업들은 그 여파가 장기간 광범위하게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8일 산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업들은 기존의 미국 출장 관행을 점검하고 제도적 보완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이번에 협력사 포함 300명이 넘는 인력이 단속된 LG에너지솔루션은 임직원들에 대해 고객 미팅 등을 제외한 미국 출장은 전면 중단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현재 출장자도 업무 현황 등을 고려해 즉시 귀국하거나 숙소에서 대기하도록 했다.
현대차도 당분간 필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미국 출장을 보류하도록 했다. 미국에 있는 주재원 등은 적법한 비자를 발급받아 근무 중인 만큼 별도 조치 계획이 없으나, 이민법 및 고용 확인 요건을 철저히 점검 중이라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국내 일부 기업은 미국 비자별로 가능한 업무 범위에 대해 내부 검토는 물론 법무법인 자문을 요청하기로 했다. 미국에 진출한 한 기업 관계자는 "이번 일로 예방 접종을 세게 맞은 만큼 앞으로 출장 가이드라인을 더욱 보수적으로 적용할 것"이라며 "모든 미국 출장은 완전히 원칙적으로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한미 간 비자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이상 당분간 미국 내 사업에 소극적인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성과 반이민 정책 기조를 볼 때 유사 사례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는 회의적 시선도 여전하다.
한 기업 관계자는 "미국 입장에서도 지속적인 투자 유치와 일자리 확보를 위해 공장 건설을 무기한 중단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을 계기로 구체적이고 발전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
트럼프 "한국 배터리·조선 인력 불러들여 미국인 훈련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