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에서 대구 서문시장이 환급해 준 상품권이 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가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해석된다.
8일 서문시장연합회에 따르면 서문시장은 올해 네 차례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에 참여해 상품권 총 6억2천734만원 상당을 환급해 줬다. 행사별 환급액은 ▷1월 설맞이 행사 2억1천133만원(수산물 1억6천239만원, 축산물 4천894만원) ▷3~4월 수산인의 날(4월 1일) 기념행사 1억598만원 ▷5월 가정의 달 행사 1억1천199만원 ▷8월 대한민국 수산대전 1억9천804만원 등이다.
지난달 1일부터 5일간 열린 수산대전에는 서문시장 2지구 일부와 건해산물 상가가 참가해 2억원에 육박하는 환급액을 기록했다. 이 기간 시장은 국산 수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구매 금액에 따라 최대 2만원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줬다. 시장 안팎에선 지난 7월 소비쿠폰 1차 발급을 시작한 이후 행사가 진행되면서 전통시장 내 소비가 부쩍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이번 달 소비쿠폰 2차 신청을 개시하는 한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30일까지 전국 소비촉진 행사 '9월 동행축제'를 시행하면서, 매주 1만원 이상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경우 결제액의 최대 10%를 환급(2만원 한도)해 주기로 했다. 소비쿠폰 2차 신청 시작은 오는 22일로 예정돼 있다.
이에 더해 시장에선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연 매출 30억원 이하 점포로 제한되면 시장 내 소비 분산 효과가 커질 것이란 기대감도 번지고 있다. 중기부는 지난 1일 전국상인연합회와 현장 간담회를 열고 온누리상품권 취급 가맹점 기준을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그동안 가맹점 매출 상한선이 없어 제도 운영 취지와 거리가 있는 대형업체까지 혜택을 누린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소상공인에 지원이 집중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서문시장에서 영업 중인 한 상인은 "전통시장에도 연 매출이 30억원을 넘는 점포가 있는데, 사실상 소상공인이라 보기 힘들다"면서 "소비쿠폰 지급 이후 (사용처 기준으로 인해) 시장 점포들 매출이 골고루 올라온 점을 고려하면 온누리상품권 제도 개선이 전통시장 내 소비 분산과 점포 간 동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
트럼프 "한국 배터리·조선 인력 불러들여 미국인 훈련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