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노조원들이 저임금 구조 개선을 위한 임금체계 개편안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학비연대회의)는 11일 오전 10시 대구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규직·비정규직간 차별 철폐 ▷합리적인 임금체계 개편 ▷방학 중 비근무자 생계대책 마련 등 열악한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학비연대회의는 "지난달 28일 '2025년 집단 임금교섭 개회식을 통해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18만명의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교섭을 시작했다"며 "30년을 일해도 정규직 대비 절반에 머무는 차별적 임금체계를 개선하고 노동자의 정당한 직무가치를 반영하는 임금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비연대회의는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전국여성노 3개 노조로 이뤄진 조직으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매년 집단 임금교섭을 진행한다.
노조는 이번 교섭에서 현행 월 206만6천원인 임금 2유형의 기본급을 최저임금인 월 209만6천270원에 맞추고, 명절휴가비를 정규직과 동일 기준인 기본급의 120%로 적용해달라고 요구했다.
서춘화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장은 "2026년도 예산안에서 공무원의 임금이 2017년 이후 최대폭으로 인상된다"며 "그러나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여전히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과 각종 수당 차별에 묶여 정규직과의 격차가 날로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경희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대구지부장은 "일부 직종은 1년 중 4개월 동안 방학이라는 이유로 아무런 일을 하지 못하고 생계 불안에 시달린다"며 "방학 중 비근무자의 최소한의 생계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학비연대회의는 이날 각 시도교육청 앞에서 집단임금 교섭 돌입에 따른 요구안을 발표하며 전국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집단 임금교섭 승리 투쟁을 위해 11, 12월 총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외교부 "'美구금' 전세기 10일 출발 어렵게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