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연구인력 가운데 인도와 중국 출신이 전체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연구 비자(E-3)를 발급받아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4천629명(중복 포함)이었다.
국가 단위로 보면 인도가 2천262명으로 최근 5년간 외국인 연구인력 유입의 절반가량이었고, 중국이 518명으로 뒤를 이었다.
인도와 중국 출신 연구 인력은 전체의 60.1%였다.
이밖에 파키스탄(304명)·이란(184명)·베트남(162명) 등이 주요 외국인 연구인력 출신국이었다.
연구비자 발급자 수는 2020년 639명에서 2021년 1천59명으로 늘어난 이후, 2022년 1천31명, 2023년 835명, 지난해 621명을 기록하는 등 3년 연속 감소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연구 비자로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은 444명으로 집계됐다.
이 의원은 해외 고급 인력이 지속해서 감소하는 와중에 특정 국가 출신에 대한 쏠림 현상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연구 비자의 경우 민감한 국가 과학기술 정보 접근성이 보장되는 만큼, 안보적 관점에서 대응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협력의 저변은 넓히되, 연구 안보 제도 확립을 병행해 지속 가능한 인재 유치의 기반을 마련할 때"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