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시 채신공단 한 폐기물 재활용 기업의 2공장 증축을 두고 인근 주민들의 반대 민원과 해당 기업간 입장이 엇갈리며 불필요한 오해가 확산되고 있다.
29일 영천시 등에 따르면 2003년 채신공단에 입주해 납 폐기물 재활용 공장(1공장)을 운영해 온 A기업은 업종 전환과 구리(동) 재생품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해 지난 5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영천시로부터 2공장 증축을 위한 건축 및 재활용업 허가를 받았다.
증축 부지는 대경경자청이 채신공단내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를 개발하던 2009년에 분양받은 땅이다.
하지만 이달 초 인근 주민들이 "A기업은 그간 유해성 화학물질과 악취, 분진, 소음 등을 배출하며 주민 건강과 생활환경을 위협해왔다"며 영천시와 국민신문고 등에 증축 허가 반대 및 취소 민원을 제출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주민들은 A기업의 오염물질 배출량 전수 조사와 결과 공개, 환경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A기업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주민들이 사업 방향 및 내용과 관계없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서다.
A기업은 1공장의 경우 이미 지난 2018년 납 폐기물 재활용 면허를 반납했다. 이후 3년간 기술 개발과 시험 가동 등을 거쳐 2021년부터 반도체, 2차전지 등의 폐부품 소재에서 추출한 구리 등을 수집·재가공한 원자재(구리괴)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증축 중인 2공장은 발생 오염물질이 정제·정화·정수 처리를 거쳐 배출되며 TMS(자동측정기기) 설치 의무화에 따라 농도나 수치가 관계 당국에 실시간 전송되고 정기 검사도 실시하고 있다.
A기업 대표는 "주민들 주장이 사실이라면 주변 기업과 노조에서 먼저 문제를 제기했을 것"이라며 "2공장 역시 납이 아닌 구리 재생품 생산을 위한 것으로 법적 기준과 절차에 맞춰 증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주민들 주장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 언제든 소통하고 오해를 풀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지역 상공계와 시민들은 행정 당국이 중재에 나서 갈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주민은 "기업과 주민 모두가 지역사회의 한 축인 만큼 상호 불신과 갈등이 깊어지지 않도록 영천시 등 관계 당국이 사실 관계를 정확히 파악해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78년만에 검찰청 사라진다…정부조직법 與주도 본회의 통과
통역 중 퇴장한 李…이준석 "직언할 인사없고 심기만 살펴"
尹 모습에 눈물 쏟아낸 전한길…"목숨걸고 지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