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겨울철 초미세먼지 55%는 '중국발'…국내 발생은 2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1일 대구·경북권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차량들이 뿌옇게 변한 도심을 주행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오는 23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1일 대구·경북권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차량들이 뿌옇게 변한 도심을 주행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오는 23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겨울철 국내에서 관측되는 초미세먼지(PM2.5)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 국제공동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초미세먼지의 55%는 중국발이었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것은 29%를 차지했다.

이 보고서는 작년 2∼3월 과학원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진행한 '아시아 대기질 공동 조사'(ASIA-AQ)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진은 7개 대기화학수송모델 분석 결과를 평균해 국내 초미세먼지의 기원이 어디인지 제시했다.

조사 기간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지역은 예상대로 중국이었다.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에서 중국 기여도는 기간별로 최소 36%에서 최대 71%로, 조사 기간 평균 55%였다.

중국 기여도가 최소인 시간은 대기가 청정했던 '작년 2월 15일부터 3월 2일까지'였고 최고인 기간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작년 3월 3∼8일'이었다.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중국 중에서도 베이징·톈진·허베이 등 화북지역과 허난·후베이·후난 등 화중지역 기여도가 특히 높았다.

눈길을 끄는 점은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지도 낮지도 않았던 작년 3월 9∼31일 중국의 기여율이 약 60%에 달한 점이다.

한반도 초미세먼지 농도에 국외 영향이 절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국내 인위적 행위에 의해 배출되는 초미세먼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최소 16%에서 최대 43%로 조사 기간 평균 29%였다.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았고 그렇다고 중국에서 들어온 것도 아닌 미세먼지는 많아야 21% 미만으로, 중국에서 월경해 들어오는 먼지와 국내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국내 초미세먼지 주원인으로 분석됐다.

한국과 중국 모두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고 있다.

한국의 지난해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5.6㎍/㎥로, 2016년 26㎍/㎥에 견줘 40% 낮아졌다.

중국은 전국 339개 도시 2023년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30㎍/㎥로, 2016년 47㎍/㎥보다 36% 정도 옅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