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광역시 중 대구가 오수와 빗물을 구분해 처리할 수 있는 하수도관의 분류식화율이 가장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간 페놀유출사고 후 대구시민들의 '물 불안감'이 계속되는 만큼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9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우재준 의원(대구 북구갑)에 따르면 대구시의 오우수관 분류식화율은 40.2% 수준으로, 6대 광역시 중에서는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6대 광역시 중 분류식 오우수관 설치율은 울산이 100%로 가장 높았고 ▷부산 70.6% ▷대전 69.4% ▷인천 60.0% ▷광주 55.4% 등이 모두 대구를 앞섰다.
우리나라 하수도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오수와 빗물을 함께 수집하여 하나의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는 합류식 하수도와 오수와 빗물을 별도의 관로로 분리 처리하는 분류식 하수도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구시가지의 경우 관로를 1개만 설치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합류식 하수도를 설치해 왔다. 다만 최근 강우 시 오수와 우수(빗물)가 섞여 하천에 오염물질이 일시에 방류되는 등 수질오염을 일으킨다는 지적이 계속돼왔고, 신규 개발지에는 분류식 오우수관을 대부분 설치하고 있다.
대구시 내에서도 구·군별로 분류식화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구 달서구와 달성군은 분류식화율이 100%인 반면 서구는 5.6%, 남구 5.9%를 각각 기록 중이고, 중구도 8.2%로 한자릿대에 불과하다.
우 의원은 "대구시는 이전부터 페놀유출사고 등으로 물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지역"이라며 "하천 악취, 수질오염 등에 예민한 만큼 하수관로 정비 사업 역시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나, 정부에서 예산을 편성하더라도 지자체와 매칭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존 도심지의 배수 시스템인 합류식 오우수관은 공사기간 단축 등의 이유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오수 악취 및 오염 가능성 때문에 신규 개발지에서는 분류식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며 "괴물 폭우 등의 기상이변이 늘어나며 비점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높아진 만큼 대구시 역시 분류식 하수도 설치율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의대 신입생 10명 중 4명은 여학생… 의약학계열 전반서 여성 비율 상승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