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 감금, 살인 등 강력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캄보디아 관광업계는 "캄보디아는 한국인에게 위험한 나라가 아니다"며 사기 조직 및 그 연루자들이 저지른 범죄와는 구분해 달라고 촉구했다.
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13일(현지시간) 프놈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희생자 대부분이 불법 일자리에 지원했다가 속은 사람들"이라며 "이번 사건들은 모두 사기 조직과 연루된 개인들이 관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10일간 한국인 관광단을 인솔했다며 "손님들 모두 캄보디아가 안전하다고 느꼈고, 오기 전에는 사기 얘기를 들었지만 실제로는 아무 문제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들은 대부분 관광객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불법 구직에 지원했다가 속거나 금전 갈취를 당한 경우다"라며 "한국 지도자(대통령)가 사기 조직 사건과 일반 관광을 구분하지 않은 점이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자국민을 대상으로 '고수입 일자리' 등의 온라인 사기 수법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캄보디아 왕립학술원 국제관계연구소 킨 피아 소장도 같은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한국 정부는 특정 국가를 지목하기보다, 모든 해외여행 시 국민들에게 주의사항을 안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외교적 압박은 양국 관계를 악화시킬 뿐이며, 사기·납치·고문 등은 국경을 넘는 범죄이므로 양국이 협력해야만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의 책임 회피성 발언도 이어졌다.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한국인 대상 온라인 사기 사건은 캄보디아 뿐 아니라 다른 국가가 오히려 더 심각하다"며 "양국 관계가 흔들리면 오히려 국제 범죄조직이 더 활개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경찰청은 작년부터 이달 13일까지 약 2년간 캄보디아 관련 실종·감금 의심 사건을 143건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중 대상자의 소재와 신변 안전이 확인된 사건은 91건이며, 나머지 52건은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외교부는 최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 '여행자제'에서 2.5단계인 '특별여행주의보'로 높였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