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고평가 논란에 휘청였다.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3% 하락하며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하락은 4월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계획을 발표한 직후 주가가 10% 급락했던 이후 최대 수준이다.
특히 대표적인 AI 수혜주들이 일제히 큰 폭으로 떨어졌다. 실적을 발표한 팔란티어 주가는 한 주 동안 11% 급락했고, 오라클(-9%), 엔비디아(-7%), 메타(-4%), 마이크로소프트(-4%) 등 주요 종목도 줄줄이 하락했다.
이들 AI 대표 종목 8개의 시가총액은 단 일주일 새 약 8천억달러(약 1천166조원) 증발했다. 지난달 말 사상 처음 시총 5조달러를 돌파했던 엔비디아는 이 기간 3천500억달러(약 510조원)가 증발했다.
AI 열풍과 낙관적인 경기 전망 덕분에 나스닥은 지난달까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최근 'AI 거품론'이 재점화되면서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여기에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역대 최장(36일)을 기록하며 일부 기능이 정지되고, 경제지표 발표도 중단되자 투자심리가 급속히 얼어붙었다. 소비심리 악화, 기업 감원 소식, 높은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부담 등이 겹치면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JP모건 보고서를 인용해 "통상 하락장에서 저가 매수에 나서던 개인 투자자들조차 매수를 멈췄다"고 전했다. 팔란티어 등에서는 개인 투자자 매도세가 우위를 보였고, 급등세를 이어온 양자컴퓨팅 관련주에서도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졌다.
롬바르드 오디에 자산운용의 플로리안 이엘포 거시경제 책임자는 FT와의 인터뷰에서 "AI 관련 자본 지출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부채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2000년 닷컴버블 당시의 과잉 투자 열풍과 닮았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