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했던 일본 야구' 한국 야구 대표팀, 일본에 10연패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국, 일본과 평가전서 4대11 역전패
규정 적응 못한 투수진, 심판은 오심도
실력 차 절감, 투수진 4사구 11개 남발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5 K-베이스볼 시리즈 한국과 일본의 평가전. 4대11로 패한 한국 대표팀 선수들이 관중에게 인사하며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5 K-베이스볼 시리즈 한국과 일본의 평가전. 4대11로 패한 한국 대표팀 선수들이 관중에게 인사하며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야구는 역시 강했다. 류지현 감독이 이끄는 한국 야구 대표팀이 'K-베이스볼 시리즈'라 이름 붙인 평가전에서 일본에 무너지며 10연패를 당했다. 바뀐 규칙도 경기를 더욱 어렵게 했다.

한국은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시리즈 1차전에 나섰으나 일본에 4대11로 역전패했다. 한일전에선 2015년 세계야구소프트볼협회(WBCS) 프리미어리그12 준결승 때 승리한 게 마지막. 이후 이날 승부를 포함해 10번 만나 모두 고배를 마셨다.

이날 한국은 선발 곽빈(두산 베어스)이 3회말까지 무실점으로 막았다. 여기다 4회초 안현민(KT 위즈)이 2점포를 터뜨린 데 이어 송성문(키움 히어로즈)도 솔로포를 날리는 등 연속 타자 홈런을 기록하며 3대0으로 앞서나갔다.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5 K-베이스볼 시리즈 한국과 일본의 일본의 평가전. 4회초 무사 1루에서 안현민이 선제 2점 홈런을 쏘아올린 뒤 그라운드를 돌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5 K-베이스볼 시리즈 한국과 일본의 일본의 평가전. 4회초 무사 1루에서 안현민이 선제 2점 홈런을 쏘아올린 뒤 그라운드를 돌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이내 승부가 뒤집혔다. 4회 곽빈이 실점한 데 이어 바뀐 투수들도 흔들렸다. 이로운(SSG 랜더스), 김택연(두산), 이호성(삼성 라이온즈), 성영탁(KIA 타이거즈) 등 젊지만 국내 정상급인 불펜이 연거푸 등판했으나 일본 타선을 막지 못했다. 5회에만 6실점.

이번 대회는 내년 3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준비하려고 마련한 이벤트.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공식 야구 규칙을 따른다.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를 사용하지 않고, 한 번 등판한 투수는 최소 타자 셋을 상대해야 한다.

한국 투수들은 지난 2년 간 ABS에 익숙해진 상태. 이날 주심의 볼 판정에 쉽게 수긍하지 못했다. 인간 심판은 ABS보다 일관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투수가 눈에 띄게 흔들려도 타자 3명을 상대하지 않은 탓에 투수 교체로 흐름을 끊지도 못했다.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5 K-베이스볼 시리즈 한국과 일본의 평가전. 5회말 무사 만루 위기에서 투수 성영탁이 일본 사카모토에게 1타점 내야 땅볼을 허용한 뒤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5 K-베이스볼 시리즈 한국과 일본의 평가전. 5회말 무사 만루 위기에서 투수 성영탁이 일본 사카모토에게 1타점 내야 땅볼을 허용한 뒤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심 젠 파월의 오심도 아쉬웠다. 3대3 동점이던 5회초 문현빈이 투구 마츠모토 유키 앞으로 강습 타구를 날렸다. 공은 마운드를 맞은 뒤 투수 발을 스쳐 높이 떠올랐고, 1루수 쪽 파울 지역에서 일본 1루수 사사키 타이가 잡았다. 이미 문현빈은 1루를 밟은 상황. 내야 안타가 될 타구였다.

한데 파월은 난데없이 아웃을 선언했다. 공이 투수 발에 바로 맞아 튀어 올랐다는 주장이었다. 4심간 합의가 이어졌으나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강한 타구가 투수 발에 바로 맞아 그렇게 크게 튀었다면 투수 발이 성한 게 이상한 상황. 공에 그라운드의 흙에 묻었는지 확인해보지도 않았다.

하지만 가장 큰 패인은 실력 차. 이날 등판한 투수 7명은 몸에 맞는 공 2개와 볼넷 9개 등 4사구 11개를 남발, 스스로 무너졌다. 심판의 스트라이크존에 적응하는 것도 능력. 구속은 빨랐지만 제구가 잘 되지 않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