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입 수시 모집 논술고사 응시율이 전년 대비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예년보다 어렵게 출제돼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입시업체 유웨이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논술고사를 치른 일부 대학 응시율이 전년 대비 4~5%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수시 논술고사 응시율은 45~55%를 유지해 왔다.
수시 전형에서 대학들은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요구하는데 올해 수능은 국어가 특히 고난도로 출제됐고 절대평가인 영어 역시 난도가 있어 등급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 소장은 "절대평가인 영어 영역이 어려워지면서 수능 최저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생각한 수험생들이 논술 응시를 포기한 것"이라며 "올해는 논술 학원에 강좌를 예약한 수험생들이 등록을 포기하는 사례도 예년보다 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수능 영어 1등급 비율은 지난해 6.22%에서 3~4%대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입시 전문가들은 이럴 때일수록 수능 최저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논술시험 고사장에 들어가는 것이 효율적인 전략이라고 강조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입시 기관들이 제시하는 예상 등급컷과 실제 채점 결과의 최종 등급컷은 다를 수 있다"며 "수능 최저 충족 여부를 섣불리 단정하지 말고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논술 고사장에 입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이번 입시에 실패해 재수를 선택하게 되더라도 실제 논술 고사장에 들어가 본 경험치는 다음 해 입시에 큰 자산이 된다"며 "제시문 난도, 시간 배분, 답안 작성 분량 감각, 긴장 관리 등은 사설 모의 논술만으로는 완전히 체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5일~16일 서강대·성균관대·숙명여대·경희대·고려대 등 14개 대학에서 논술고사가 치러졌다. 서강대와 성균관대는 1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은 재림예수인 듯' 출판기념회 "정치-종교, 인간-신의 경계 넘나드는 시도"
대장동 일당 변호인조차 "항소 포기 상상도 못해…김만배 가장 이익"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
민주당 '검사징계법 폐지안' 발의…검사도 '파면' 길 열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