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계획한 외국인 유학생 10명 중 6명은 서울에서 일자리를 찾고 싶은 것으로 조사됐다. 유학생의 지역 정착과 산업 인력 확보를 목표로 해온 정책과 어긋나는 결과로, 비수도권의 인구감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한층 세밀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최정윤 선임연구위원은 20일 온라인 설명회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인구절벽 위기 극복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만8천명으로 2007년 4만9천명 대비 4.2배 늘었다. 학위과정 유학생은 3만2천명에서 14만5천명으로 4.5배 증가했고, 어학연수 등 비학위과정 유학생은 1만7천명에서 6만3천명으로 3.7배 늘었다.
특히 학위과정 유학생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대학원 과정 유학생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거의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 연구위원은 비수도권 대학이 유학생 증가의 효과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체 유학생 중 수도권 대학 비중은 4년제 대학, 전문대, 대학원 모두에서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 대학 비중은 일제히 줄었다.
비학위과정 비중은 2014년 39.1%에서 지난해 45.0%로 비수도권 대학에서만 증가했는데, 이는 유학생의 체류 기간이 짧아졌음을 의미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 연구위원은 "입학 문턱이 낮은 비수도권 대학의 어학 프로그램을 기착지로 삼은 뒤 서울 소재 대학으로 편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했다.
유학생의 취업 선호 역시 서울에 집중됐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졸업 후 한국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유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96명(62.0%)이 서울을 취업 희망 지역으로 꼽았다. 서울에서 공부 중인 유학생 121명 중에서는 116명이 서울 취업을 원했으며, 경기와 대전의 유학생도 대학 소재지가 아닌 서울 취업을 희망했다. 반면 부산과 대구 등 대도시에서 공부한 유학생은 서울보다 대학 소재지 취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최정윤 연구위원은 "서울은 일자리 기회가 많고 문화·생활 기반이 잘 갖춰져 있어 유학생에게 매력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 대구 등 일부 지역에서 정주 응답률이 높게 나타난 점은 노동시장과 정주 여건이 개선되면 유학생 지역 정주도 성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는 유학생의 비수도권 정착을 위해 ▷유치·학업·취업·정주 단계별 특성 분석 기반 정책 진단 체계 구축 ▷부처·지자체·대학 간 정책 목표 조율과 실행 목표 명확화 ▷지역 경제·산업 발전 계획과 연계한 유학생 지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예지, 장애인인 걸 다행으로 알아야…" 유튜버 '감동란'도 고발당해
예산 막차 올라타나…'TK신공항' 극적 반영 기대감
"민생 방치하고 사전선거운동" 국힘, 김민석 국무총리 경찰 고발
[화요초대석-김영수] 국가가 망가지고 있다
대구 오는 정청래 'TK신공항 예산' 지원사격 나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