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과 포항에 있는 신라 시대 비석 3개에 대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포항시와 울진군에 따르면 '2025 신라 동해안 3비 세계기록유산 등재 학술대회:신라 동해안 3비의 가치와 등재 전략'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신라의 통치 이념과 지역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국보인 울진 봉평리 신라비(524년)와 포항 중성리 신라비(501년), 포항 냉수리 신라비(503년) 등 '신라 동해안 3비(가칭)'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다.
이번 학술대회는 오는 27일 포항 POSCO 국제관 1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역사학자, 금석문 연구자, 세계기록유산 전문가 등이 참여해 세 신라비의 진정성, 완전성, 세계적 중요성의 의미를 조명하고 등재 추진 전략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신라 동해안 3비는 6세기 신라가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던 과정에서 ▷당대 사회·정치 구조의 변화 ▷지역 지배체계 정착 과정 ▷신라 문자문화의 발전 등을 보여 주는 핵심 사료다. 현재까지 발견된 신라시대 비 가운데 가장 빠른 비들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돼 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총 6개의 주제발표를 통해 신라 동해안 3비의 가치를 다각적으로 조명한다.
주제 발표는 한국국학진흥원 이상호 박사의 '신라 동해안 3비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전략'을 시작으로 신라 동해안 3비의 가치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신라 동해안 3비의 진정성과 완전성(김창석 강원대 교수)', '신라 동해안 3비의 세계적 가치(강종훈 대구가톨릭대 교수)', '신라 동해안 3비의 내용과 역사적 중요성의 고찰(윤진석 계명대 교수)', '신라 동해안 3비의 문자와 서체(고광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원)', '신라 동해안 3비의 지속 가능한 보존관리 전략 및 가치 고도화 방안(조영훈 국립공주대 교수)' 순으로 진행된다.
주제발표가 끝나면 주보돈 경북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하일식(연세대학교), 홍승우(경북대학교), 박성현(서울대학교), 정현숙(원광대 서예문화연구소), 심현용(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 등 토론자가 참여해 신라 동해안 3비의 가치와 등재 전략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는 종합 토론이 열린다.
이를 시발점으로 울진군과 포항시는 올해부터 5년간 공동으로 경북문화재단 문화유산원과 협력해 향후 학술연구, 국제학술대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주민 홍보 및 신라비 인식 확산 사업 등을 통해 신라 동해안 3비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힘을 모았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1988년 울진 봉평리 신라비가 발견된 후 바로 국보로 지정될 만큼 가치가 큰 봉평리비를 포항의 중성리비, 냉수리비와 함께 국내에서의 가치를 넘어 세계인이 지켜야 할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해 한국을 대표하는 신라시대 석비의 랜드마크로 육성하고자 포항시와 경북문화재단 문화유산원과 함께 힘을 모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큰손 사업가, 오만해"…北, 부부 총살형에 아이들까지 강제 참관
조국, 부산시장 출마?…"전당대회 이후 마지막에 결정"
與전현희 "패스트트랙 솜방망이 처벌, 나경원 '개선장군' 행세"
"창문없는 지하 2층·6평에 3명 근무"…유튜버 원지, 사무실 논란에 꺼낸 말
홍준표 "오세훈 세운상가 재개발 지지" 여권 종묘 뷰 비판엔 "덕수궁 앞 플라자호텔도 철거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