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경주, 미래에너지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 도전장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원전 운영 노하우·포스텍 연구역량·방폐장 수용성까지… 경쟁력 부각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경주가 원자력 시설 집적화와 주민 수용성 등의 강점을 내세워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에 본격 나섰다. 핵융합 연구시설 부지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주관 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경상북도는 지난 21일 대전 한국연구재단에서 열린 핵융합 연구시설 용지 공모 발표평가에 양금희 경제부지사·송호준 경주부시장 등이 참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발표 평가에서 도와 경주시는 핵융합시설 경주 유치 배경 등을 설명하면서 유치전에 적극 나섰다.

도와 경주시에 따르면 핵융합 시설 유치 부지는 경주시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유휴부지 약 51만㎡ 규모다. 이곳은 산업단지로 계획돼 있어, 연구시설 건립 및 착공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주는 핵융합으로 발생하는 방폐물 처분을 위한 국내 유일 중저준위 방폐장도 보유하고 있어 주민 수용성 확보에도 용이하다.

인근에는 포항공대·한동대 등이 핵융합 실현을 위한 8대 핵심기술 중 하나인 노심 플라즈마 제어, 혁신형 디버터 등 주요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 연구원, 재려연구원, 중수로해체 기술원 등 연구기관 간 협업도 강점으로 여겨진다.

발표 평가에 참석한 양금희 도 경제부지사와 송호준 경주부시장 등도 이 같은 경주의 강점을 적극 어필했다. 양 부지사는 "경주는 핵융합 기술 특성상 양성자가속기, 방사광가속기 등과 같은 입자가속기 기술 활용과 포스텍, 원자력연구원 등과 협업이 가능해 최적의 입지"라고 강조했다. 송 부시장도 "경주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등을 통해 핵융합 국제협력 허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도시"라고 강조했다.

이번 공모는 시설 부지만 제공하면, 정부가 핵융합 연구시설을 조성하게 된다. 건설 등에 필요한 직접적 경제효과 1조원 이상에 향후 연구시설과 관련기업 집적 등으로 인해 최대 1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등 간접적인 파급효과가 10조원 이상에 달할 것으로 도는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핵융합 연구시설은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한국 에너지 미래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국가적 사안"이라며 "경북도가 과거 원전의 값싼 전기로 대한민국 산업화를 견인했듯이 미래에너지인 핵융합 기술 상용화를 위한 연구부지 선정 또한 경주가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경북도-경주시, 핵융합 연구시설 경주 유치 전략회의. 경북도 제공.
경북도-경주시, 핵융합 연구시설 경주 유치 전략회의. 경북도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