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이 일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서며 현지에서 첫 자체 투자 프로젝트를 착공했다. 기존의 장비 공급 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투자부터 운영, 전력거래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7일 일본 치바현 이치하라시에 계통연계 ESS 발전소를 착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PCS(전력변환장치) 2MW, 배터리 8MWh 규모로 구성됐으며, 현지 전력망과 연계해 에너지를 저장·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계통연계 ESS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보완하고, 전력 수요에 맞춰 에너지를 공급해 효율적인 전력 운영을 돕는 역할을 한다. LS일렉트릭은 이번 사업에서 자사 PCS를 비롯한 주요 전력기기를 공급하며, 에너지관리시스템(EMS)도 구축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단순 장비 공급을 넘어 직접 투자와 운영까지 수행하는 첫 사례다. 이를 계기로 일본 시장 내 ESS 분야에서 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풀 밸류체인' 진출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글로벌 ESS 사업은 금융기관이나 전력회사 등 외부 투자자가 주도하고, 전력기기 업체는 시공과 운영을 맡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LS일렉트릭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자체 투자에 나서며 보다 주도적인 위치에서 일본 시장을 공략하게 됐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 지역에서도 대규모 ESS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당시 수주한 사업은 한국 기업이 일본 내 계통연계 ESS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례 중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앞서 2022년에는 홋카이도와 규슈 지역에 계통연계형 ESS를 구축한 바 있으며, 도쿄 지역에서 추진된 ESS 보조금 사업에서도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을 수주해 자사 PCS 시스템을 설치·운영 중이다.
일본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36~38%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ESS 설치를 위한 보조금 제도도 강화되며 관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일본의 정책 변화와 시장 성장세에 발맞춰 투자와 전력거래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현지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가슴이 벅차오른다"…누리호 발사 성공 축하
매장에서 무릎 꿇고 사과한 직원…순천 다이소 갑질女 논란 [영상]
尹변호인들 "민주당만도 못한 국힘 쓰레기 XXX…국민 외면하고 무슨 정치를 하나"
구미 온 장동혁 "이재명 정권은 우리 행복 파괴하는 정권"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