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환경관리청과 낙동강환경관리청 등 지방환경청을 대상으로 한 11일 환경노동위 국감에서는 낙동강 수질개선대책과 팔공산 보전대책, 강정취수보 문제 등 대구.경북지역이 안고 있는 환경문제 전반이 노출됐다.
한나라당 서훈의원은 "경북도내 쓰레기매립장 74곳 가운데 매립이 완료돼 폐쇄된 곳이 17개에 이르는 등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나 자치단체의 준비소홀 등으로 신규매립장건설이 차질을 빚고 있어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려 있다"고 지적했다. 서의원은 "'대구의 허파' 팔공산이 전원택지공사 등 개발로 파괴되고 있다"면서 팔공산 보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자민련 박세직의원은 "대구.경북지역에서 산성비가 내리는 횟수가 갈수록 증가하고있다"고 지적하고 "지역의 경우 산성비의 주원인인 아황산가스 농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음에도 산성비가 내리는 것은 중국이나 다른 대도시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회의 김태랑의원은 대구시의 강정취수보 건설사업과 관련,"연간 8천만원의 경제적 손실때문에 160억원을 들여 취수보를 건설하겠다는 것은 산술적으로 따져도 190년치 기존시설 보수비를 한꺼번에 쏟아붓는 엄청난 예산낭비"라고 지적했다. 김의원은 이어 "하류지역의 상수원 오염과 생태훼손에 대한 예상, 고무보의 실효성 여부 등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와 검증없이 공사를 강행하는 의도가 무엇이냐"며 호되게 질책했다.
같은 당 한광옥의원은 "현재 BOD를 기준으로 수질을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COD등 다른 기준은 수질예측모델링 수행의 한계로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하류지역의 반대로 위천단지 설립이 실질적으로 어려워진다고 보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 밖에 한나라당 권철현의원은 "낙동강수계에 독극물 업소가 517개나 밀집해 있다"며 낙동강의 독극물오염위험을 지적했고 한나라당 박희태의원은 "상대적으로 수질이 나쁜 낙동강지역에 물이용부담금을 부과할 경우 엄청난 반발을 불러올 것"이라며 낙동강 하류지역 주민들에 대한 부담금제도 도입에 반대했다.
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