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3일 오전 설악산 국립공원내 켄싱턴스타
호텔에서 제2차 장성급군사회담을 열고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우발적 무력
충돌을 막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남측은 1차 회담(5월26일.금강산) 때 제안한 ▲서해 함대사간 직통전화 설치.운
영 ▲경비함간 공용주파수 설정.운영 ▲경비함간 시각 신호 제정.활용 ▲불법어로
활동 단속과 관련한 정보 교환 등을 재차 강조하고 이번 회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자고 촉구했다.
반면 북측은 서해상의 군사적 긴장을 해소해야 한다는데는 공감하면서도 군사분
계선(MDL) 일대의 확성기방송과 선전구호판 등 선전수단을 먼저 제거하는 것이 더 '
절박한 문제'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은 서해상에서 꽃게잡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만큼 이번 회담에서 우발적
무력충돌 방지 방안이 구체적으로 합의되지 않으면 이른 시일 내 3차 회담을 열어
합의안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이날 오전 10시에 시작된 전체회의에서 남측 박정화 수석대표(해군준장)는 "남
북이 신뢰구축을 위해 오랜 시간을 끌어왔는데 오늘 2차회담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
길 희망한다"고 말하자 북측 안익산 단장(수석대표.인민무력부 소장)은 "우리(북)측
도 같습니다"라고 화답했다.
북측 안 수석대표는 남측으로 내려올 때 수속 때문에 남측의 동해선 철도.도로
공사 모습을 볼 수 없었다며 돌아갈 때는 이를 보여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앞서 안 수석대표 등 북측대표 5명과 지원요원, 기자 등 30여명은 승용차 4대,
승합차 2대, 버스 1대에 나눠 타고 오전 7시께 MDL을 통과해 동해선 출입관리사무소
(CIQ)에서 간단한 수속을 거친 후 남측지역으로 넘어와 오전 8시 45분께 회담장인
켄싱턴스타호텔에 도착했다.
북측 안익산 수석대표는 호텔 정문에서 마중한 박정화 수석대표 등 남측 대표와
일일이 악수하면서 "또 만나서 반갑습니다. 잘해봅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