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8일 방폐장을 유치한 경주에 62건 4조 5천623억 원을 지원키로 최종 결정함에 따라 언제 어떤 방식으로 예산이 내려올 것인지 등에 대해 경주시민들은 물론 경북도민들의 관심이 적잖다. 그만큼 경주를 바꿀 메가톤 급 폭발력을 갖고 있기에 궁금증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100년 앞당기는 방폐장
이번 정부 지원 결정으로 역사문화도시 사업이 확실하게 그려지게 됐다. 올해 일반예산 4천670억 원 중 가용재원이 700여 억 원 남짓한 경주시는 건들면 수백억 원이 들어가는 신라유물 복원과 발굴 사업들이 골칫거리였으나 이번에 대부분을 국비 지원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봉우 국책사업추진지원단장은 "한수원 본사가 경주로 이전해 오면 연간 수백여 억 원의 지방세 수입까지 예상된다."면서 "방폐장이 경주 개발을 100년 앞당기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본격적인 예산 지원은 사업타당성 조사와 문화재 시굴조사 등 착공에 필요한 기간 등을 감안할 경우 2, 3년은 지나야 할 듯. 경주시는 "전체 62건 중 55건은 단기사업으로 분류돼 있어 앞으로 10년 이내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주에 예산이 본격 내려오면 7천500억 원 규모의 포항시 예산 규모를 넘어 경북 1위 규모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시 분담분이 걸림돌
특별법에 따른 지원이 결정됐지만 전액 국비가 아니라 경주시 분담분도 있다. 다만 특별법에 따른 지원인 만큼 분담률이 낮아질 전망이다. 경주시는 시 몫을 13%선 정도로 보고 있다. 이 경우 연간 3천억 원이 지원되면 400여 억 원은 시 자체 마련이 불가피한데, 경주시는"한수원 본사가 이전해 오고 방폐장유치지원 특별금 3천억 원이 있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한수원 본사 이전 경우 계획대로 추진되더라도 2011년은 지나야 해 부담 재원 마련이 발등의 불로 떠올랐다.
◆왜 시 계획과 중복됐을까
62건의 사업 중 상당수는 경주시가 계획했거나 현재 추진 중인 사업들이 포함돼 있어 일부에서는'숫자 놀음 한 것 아니냐'며 의문을 나타내는 측도 있다. 이와 관련 경주시는"경주 장기종합개발 계획을 중심으로 하다보니 나타난 결과"라면서 "장기개발은 경주시 재원으로 한다면 수십 년 이상 걸리는 것인데 이번에 정부 집중 지원 대상에 포함시켜 조기에 해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화'가 해결의 일등공신
노무현 대통령의 화가 경주지원 사업 해결에 1등 공신 역할을 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적잖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대전을 방문한 자리에서 "경주시민들이 정부가 방폐장 부지 결정을 할 때 엄청난 지원을 해주기로 해 놓고 결정되고 나자 안 해 준다며 정부를 '사기꾼'이라고 비난하고 있는데 사실여부 조사를 지시했다."면서 진실공방을 제기하자 이후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급하게 경주로 내려왔고, 지원 규모도 커지고 후속 조치도 신속하게 처리된 것.
경주의 한 기관장은 "각 부처별로 입장 정리가 안 돼 있을 때 노 대통령이 특유의 단 한수로 잠재워 버린 것 같다."고 나름대로 평가했다. 시의 한 간부도"19년간 표류하던 방폐장 문제 해결이 참여정부의 최대 치적 중 하나인데 마무리가 안 되자 대통령이 나서 결국은 해결시킨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최윤채기자 cy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