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처신하는데 '체면'(體面)이라는 게 있다. 흔히 체면을 세워야 한다고 체면치레에 신경 쓰는 경우가 실제로 많이 있다. 체면이라는 말을 국어사전에서는 '남을 대하기에 떳떳한 체재(體裁)와 면목'이라 하였다. 이는 다분히 남을 의식하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임에 틀림없다.
또 '염치'(廉恥)라는 말은 조촐하고 깨끗하여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이라 하였다. 이 역시 사람 사이의 예의에 관계되는 일이다. 따라서 체면과 염치는 사람의 교양과 관계되는 지극히 상식적인 인간의 도리를 나타내는 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대사회의 사람들의 의식구조에는 체면과 염치를 빼놓고 아무렇게나 처신하는 그야말로 체면없고 염치없는 행동을 예사로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우리 절에 출가를 결심하고 와 사는 한 행자가 하는 일 가운데 매일 아침 조그마한 누각 청소를 하는 일이 있다. 댓 평 정도의 작은 누각인데 이를 내가 세진정(洗塵亭)이라 이름붙여 간판을 달아 놓았다. 속세의 먼지를 씻는, 다시 말하면 번뇌를 씻어내는 정자라는 뜻이다.
이 정자에 앉아 있으면 산의 경치가 아름답게 보이고 계곡물이 정자 아래로 휘돌아 흘러 매우 운치가 있다.
그런데 이 정자 때문에 가끔 나는 속상한 일을 당한다. 그것은 정자에 올라가는 관람객들의 몰염치한 행동 때문이다.
가끔 이 정자에 신발을 신은 채 올라가서는 바닥을 밟아 더럽히고 큰 소리로 떠드는 사람이 있다. 한 번은 20대로 보이는 젊은 여성 서너 명이 신발을 신은 채 올라가 떠드는 모습을 보았다. 내가 가까이 다가가 조금 나무랐더니, 이 아가씨들은 냉큼 내려와서는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그냥 절 밑으로 가버리는 것이었다. 미안하다거나 죄송하다는 말은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또 한 번은 꽤 나이가 들어보이는 중년의 여자 몇 명이 누각 위에 올라가 무슨 운동을 하는지 바닥에 드러누워 발을 치켜들고 떠는 동작을 하고 있었다. 보기가 민망했다. 한 사람은 짧은 바지를 입어 허벅지까지 다 보이는 자세였다.
사람이 아무도 안 보이는 외진 곳도 아닌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사찰 경내에서 전혀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아무렇게나 벌이는 행동이었다. 체면과 염치하고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 같았다. 누군가 문명이 발달할수록 사람들의 체면과 염치가 없어진다 하더니, 그렇다면 이 시대가 정녕 '무교양시대'란 말인가?
지안 스님(은해사 승가대학원장)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李대통령 "재난상황에 '음주가무' 정신나간 공직자 엄벌"
기초수급자 낙인?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43만원' 금액 인쇄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