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부부와 그들 사이에서 태어난 2세들이 크게 늘고 있다.
더 이상 피부색이 다른 외국출신들이 시골 들녘에서 일하는 모습은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한국여성개발원에 따르면 2005년 전체 국제결혼 중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결혼이 3만 1천180건으로 72.3%를 차지했고 2020년에는 다섯 가구 중 한 가구가 다문화가정으로 채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문화가정 2세도 전국적으로 167만 명(전국민의 3%)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경북도의 경우 2001년 3%(473쌍)에 불과하던 국제결혼이 꾸준히 늘어나 2006년엔 12.8%에 달했다. 한국으로 시집온 외국 여성들도 2005년 3월 1천544명에서 2008년 2월 현재 4천600명으로 크게 늘었다. 매년 30% 이상 급증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다문화가정 2세 역시 2007년 말 2천795명으로 늘었고 이중 미취학 자녀의 비율이 70.9%나 됐다. 이는 결혼이주여성, 2세 교육 문제 등 행정 당국의 발빠른 대책이 필요한 대목이다.
조자근 경북도 다문화가정 담당은 "나이 많은 농촌 총각들만이 아닌 젊은 총각들도 외국 여성들과 결혼사례가 많다. 외국여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변화되고 있고 자연스러워지고 있다."고 했다.
임상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