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과학문화도시'.
대구의 모토이자 살길이다. 대구시는 김범일 시장 출범 후 과학기술과 교육 의료 문화를 발전의 두 축으로 삼아 경제살리기에 '올인' 하고 있다. 제조업은 미래첨단산업으로 구조를 고도화하고 테크노폴리스와 같은 새로운 창조공간과 국가과학산업단지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과 신서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산학연클러스터, 문화산업클러스터, 외자기업 유치도 적극 모색되고 있다.
앞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와 교육국제화특구마저 유치한다면 대구가 비상하는데 날개를 다는 격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5조3천억원의 재원이 투자되고 R&D, 의료제조 및 서비스업 단지가 들어서게 된다. 교육국제화 특구의 경우 교육관련 각종 규제 철폐로 대학이나 외국인학교가 몰려들면 외자기업을 위한 정주여건이 좋아져 지식창조형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성공을 위해 반드시 쟁취해야 할 프로젝트다.
기존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을 보자. 묘하게도 3곳의 외자 기업 유치나 재정투자, 국내 입주기관 성적에서 '이유있는' 격차가 난다. 인천은 '속도조절', 부산은 '소기의 성과', 광양만권은 '고전'이다. 이는 인프라 차이에 있기보다는 인적자원, 문화환경, 창조적 역동성 등 소프트웨어적인 분야의 차이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과 국가과학산업단지에다 교육국제화특구, 첨단의료복합단지까지 유치되면 대구경북은 저절로 비상할 수 있을까.
대구가 과연 사람과 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는가?.
최근 모바일 관련 노키아 협력사 4곳이 공동법인을 만들어 대구로 이전키로 했다. 공동법인의 이병우 회장은 "모바일 분야에 대한 대구권의 관심과 인적자원때문에 이전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여기에 대구의 해답이 있다. 대구는 환경, 건강, 교육, 문화 등 생활환경의 질적인 향상과 산학협력을 통해 기업을 키우고, 기업이든, 외자든 유치하는 일에 대학과 기업이 앞장서고 지방정부와 시민사회가 이를 후원해야 한다.
이렇게 되려면 리더들의 리더십이 달라져야 한다. 그 대안으로 지역 전문가들 사이에 '통합 지역거버넌스 구축'이 제안되고 있다. 대구경북의 협조가 겉돌고, 기업과 지원기관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또 같은 분야의 연구기관이나 지원기관도 서로 경쟁하는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서 말이다.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 가칭 '대구경북경제사회선진화위원회(DG-RESAB)'를 두고 산하에 지식경쟁력위원회(KCC), 혁신클러스터위원회(ICC), 학습공동체위원회(LCC), 학습·고용정보센터(LJIC)를 설치하자는 그림을 그려놓고 있다. 시장 , 도지사의 입장에서도 껄끄러울 것이 없다. DG-RESAB의 경우 두 단체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아야 힘이 실리기 때문이다. 시장, 도지사의 권한을 뺏는 것이 아니라 각 기관간 '소통을 통한 시너지 극대화'를 하자는 것이다.
대구경북 특히 대구권이 가진 것은 인적자원과 십수년간 실패를 통해 다져 온 '창조열망'뿐이다. 이 같은 재료를 꿰기 위한 방편으로 기관은 기관끼리, 리더들은 리더대로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