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영남공천의 후폭풍이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특히 무소속출마를 선언한 김무성 최고위원이 14일 이번 공천을 청와대가 개입한 '밀지공천'이라며 20여곳의 여론조사수치를 제시하면서 원칙도 기준도 없는 표적공천이라고 주장, 표적공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이 제시한 부적격 공천사례는 30여곳에 달했다. 특히 여론조사 결과 예비후보들 중 3, 4위에 머물렀거나 경쟁자에 비해 20∼40%포인트(p) 뒤졌음에도 공천을 받은 곳이 전국적으로 10여 곳에 이르렀다. 김 최고위원(부산 남을)과 이해봉 의원(대구 달서을)은 여론조사에서 3, 4배 이상 차이가 나는데도 공천에서 탈락했고 안동의 허용범 전 조선일보 기자는 여론조사에서는 3위에 그쳤는데도 권오을 의원과 김상돈 박근혜 전 대표 경선특보 등을 제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달서갑의 박종근 의원은 홍지만 전 SBS기자에게 2개의 여론조사에서 각각 8.6%p와 6.0%p 앞섰으나 탈락한 반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박형준 의원(부산 수영)은 상대후보에게 각각 9.5%p, 6.4%p(2개의 여론조사)앞서서 공천을 받는 등 10%p 이내의 미세한 차이도 적용을 달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김 최고위원이 제시한 이 같은 여론조사 수치에 대해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방호 사무총장 등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맞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의 자료에는 60대 이상의 고령의원에게도 다른 기준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의 이규택 의원(경기 이천·여주)은 이범관(64) 전 서울지검장에 비해 여론조사상 30%p 이상 차이로 우세했는데도 탈락했다. 이 전 지검장과 이 의원의 나이는 한살 차이다. 반면 최병국(65·울산 남갑) 의원은 김헌득(49) 울산시당 부위원장에게 여론조사에서 18~23%p 앞서 재공천을 받았다.
이에 대해 공천심사위원회는 여론조사외의 의정활동과 당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고 해명하고 나섰지만 당선 가능성의 지표인 여론조사 결과와 명백하게 배치되는 공천은 문제가 있다는 게 당안팎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와 더불어 노무현 정부에서 장관과 국회의원을 지냈던 사람과 다른 당으로 출마했거나 당적이탈 전력이 있는 10여명의 공천자도 도마위에 올랐다.
서울 은평갑과 동작갑의 안병용, 권기균 당 부대변인은 각각 지난 2000년 총선에서 한나라당 공천을 받지 못하자 민국당으로 출마한 전력이 있었지만 공천됐다.
김 최고위원이 부적격공천사례로 지목한 곳은 이 밖에도 박상은(인천 중동·옹진), 정재학(광명갑) 이진동(경기 안산 상록을), 주광덕(경기 구리), 김연수(경기 남양주을), 윤건영(용인 수지), 김병일(충북 청주 흥덕갑) 등 10여곳에 이른다.
한나라당은 논란이 확산될 기미를 보이자 이날 열린우리당 출신과 탈당전력이 있는 후보 등 부적격 공천지역 8곳에 대해 공천보류 조치를 내렸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