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靑·정부, 민심 제대로 읽어라" 한나라 의원총회

한나라당이 6일 오후 4·9총선후 처음으로 의원총회를 열었다.

미국산 소고기 수입재개로 인한 광우병 논란이 확산되면서 이날 의원총회의 주요의제는 한미 소고기협상 과정과 후속조치가 됐다. 당초 의원총회가 열릴 경우 친박당선자들의 복당문제가 최대현안이 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미국산 소고기 수입문제가 핫이슈가 되면서 당내 친박의원들도 복당문제에 대한 언급은 자제하기로 했다.

광우병 불안이 확산되면서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30%대로 곤두박질치는 등 민심이반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당내문제에 몰입하다가는 여론의 뭇매를 맞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날 의총에서 친박 측은 복당문제는 최고위원회의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는 점을 상기시키는 선에서 더 이상 점화시키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날 의총에서는 복당문제보다는 소고기협상에 대한 청와대와 정부 측의 무대책과 졸속협상에 대한 질책이 빗발치듯이 이어졌다. 이날 오전 열린 고위당정협의에서 마련된 대책이 국민불안과 야당의 공세를 무력화시키기에는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이날 의총에 앞서 "소고기문제에 대한 당 내부 입장도 아직 정리가 되지않은 것 같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의원총회에서 마이크를 잡고 무슨 말을 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러나 청와대와 정부는 민심을 읽을 능력도 없고 읽을 생각도 없다는 여론의 지적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면서 화를 키웠다"고 비판했다.

친박성향의 다른 의원도 "당의 입장은 정부와 달리 재협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맞지 않겠느냐"고 전제하고 "청와대와 국무위원들의 대오각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내각이 실용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면서도 너무 도식적인 접근을 하고 있어 국민들의 정서를 파고드는 실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소고기문제에 대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언급 여부도 주목을 받았다. 정국 최대쟁점으로 떠오른 소고기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었다. 박 전 대표 측은 그러나 민감한 현안에 대해 박 전 대표가 당과 배치되는 입장을 밝힐 경우의 파장을 우려, 일부 측근들은 목소리를 내지않는 것이 좋겠다는 건의를 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