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反MB' 정치적 중대결심 수순?…朴 향후행보 관심

"5월 말까지는 가부간에 결정이 나야 된다고 생각한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11일 호주·뉴질랜드 방문을 위해 출국하기 앞서 기자들과 만나 복당문제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이어 "이 문제는 현 지도부가 책임을 지고 해결할 문제"라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또 "거기(복당문제)에 대해 결론이 나면 그게 당의 공식 결정이라고 받아들이고 더이상 얘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야 나도 결정을 할 것 아니냐"고도 했다. 복당문제와 자신의 행보가 연계돼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의 언급만으로는 그가 당내 비주류로서 목소리를 높이겠다는 뜻인지, 탈당까지 포함한 중대한 정치적 결단을 감행할 것인지 어느 쪽을 선택할지 가늠하기 어렵다. 그러나 복당문제의 매듭이 풀리지않을 경우, 이 대통령의 반대편에 설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그의 한 측근은 "5월 말로 시기를 못박은 것은 우선적으로는 교섭단체 구성을 염두에 둔 것 아니겠느냐"면서 "그때까지 해결이 안 된다면 더 큰 폭의 변화가 온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박 전 대표의 최후통첩성 발언이 복당결정을 앞두고 최대한 이 대통령과 친이 측을 압박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대통령이 구체적 해법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복당문제에 대한 물꼬를 터준 만큼, 복당은 시간문제일 뿐인 상황에서 그의 시한제시는 강재섭 대표 등 당지도부를 압박하기 위한 고강도 수사(修辭)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복당해법의 최대 걸림돌은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 등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친박인사들에 대한 친이 측의 거부감이다. 청와대와 당내 친이 인사들은 "지금 수사를 받고 있는 인사들까지 일괄복당하면 국민들이 (당을) 어떻게 보겠느냐"며 이들을 복당시킬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 친박인사들 역시 박 전 대표가 견지하고 있는 일괄복당 방침을 지지하면서도 한나라당 지도부가 매듭을 풀어주지 않을 경우, 조기해법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다.

친박연대 핵심인사는 "저쪽(한나라당)에서 큰 원칙을 풀어준다면 진전될 수도 있지만 우리쪽에서 먼저 복당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기는 어렵지 않으냐"면서 복당문제의 해법을 우회적으로 제시했다. 박 전 대표가 청와대 회동에서 문제삼기도 했던 표적수사문제 등도 복당과 연계돼있는 사안이다. 복당문제가 풀리지 않을 경우, 박 전 대표가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사실상 없다는 점이 그의 행보를 외길로 몰아가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