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하던 일이 현실이 됐다. 20일 세계보건기구(WHO)의 '세계보건통계 2008'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출산율은 1.2명으로 세계 193개국 중 최저로 나타났다. 그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알려졌던 데서 '세계 최저'임을 재확인하게 된 것이다.
북한 여성의 평균 출산율도 1990년 2.4명, 2000년 2.0명에 이어 1.9명으로 나타나 머지않아 저출산 대열에 낄 전망이다. 이대로 가다간 남북한 모두 인구 감소로 인한 어려움에 봉착할 판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5년 1.08명의 충격적 출산율을 기록한 바 있다. 이후 '쌍춘년''황금돼지해'등 이른바 '달력 효과'에 따라 미미하게나마 출산율이 늘어났지만 여전히 세계 최저치를 맴돌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출산율 회복의 발목을 잡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가장 큰 원인은 양육환경의 악화다. 무엇보다 '일과 육아'의 양립이 가능한 사회로 바뀌어야 한다. 여성경제활동 1천만 명 시대라지만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 직장을 포기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자녀 1명을 낳아 대학 졸업 때까지 드는 비용이 2억3천만 원이라는 통계자료도 있듯 자녀 양육 비용이 너무 큰 점도 출산을 꺼리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꼬리를 무는 아동 대상 범죄 증가 역시 출산을 가로막는다. 가정의 행복,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리 모두 저출산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이번 통계에 나타난 프랑스의 성공적인 출산율 회복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유럽의 대표적 저출산국이던 프랑스가 20여 년 만에 출산율 1.9명을 돌파한 데는 '일과 육아' 양립을 위한 전방위적이고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이 일등 공신이 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