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親朴 복당, 드디어 길 뚫렸다

姜 대표 "문호 최대한 개방"…마무리 수순 들어가

총선이후 두 달여동안 여권의 최대 현안이던 친박인사들의 복당문제가 2일 강재섭 대표의 청와대 회동으로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

강 대표는 이날 청와대 회동에서 이 대통령에게 박근혜 전 대표가 요구한대로 일괄복당 원칙을 수용하고 당헌당규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전당대회전 복당불가라는 당초입장을 철회한 강 대표는 6월15일로 다시 한번 복당문제를 양보했다가 세번째로 물러선 것이다.

강 대표는 "당내 회합을 위해 복당을 원하거나 입당을 원하는 의원들에게 문호를 최대한 개방하겠다"며 일괄복당원칙을 천명하고 "특히 한나라당 공천에서 낙천한 인사에 대해서는 곧바로 복당시키키고 친박인사와 무소속 인사에 대해서도 당헌당규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했다. 비례대표 공천문제로 기소된 친박연대 서청원대표 등 일부인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친박인사의 복당문제가 사실상 허용된 것이다.

강 대표의 입장선회는 쇠고기 촛불집회가 격렬했던 주말을 기점으로 복당문제를 바라보는 여권내부의 기류가 급변했기 때문에 가능해졌다. 홍준표 원내대표 등이 당지도부와 청와대 고위인사,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 등 당내 실세들과의 조율을 거쳤다는 후문도 들린다.

복당문제를 먼저 풀지 않고서는 국정쇄신안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홍 원내대표 등 신임 지도부의 입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즉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바닥에 떨어진 기저에는 대선당시의 지지세력 분열과 이탈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에 동의한 것이다. 박 전 대표의 적극적인 국정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복당문제의 고리를 풀지않고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에 여권핵심부가 인식을 같이하게 된 것이다.

이날 청와대 회동을 마치고 돌아온 강 대표가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거쳐 복당에 관한 입장을 최종적으로 정리했지만 박 전 대표가 흔쾌하게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도와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박 전 대표는 지난 5월 초 호주.뉴질랜드 방문에 앞서 청와대에 가서 이 대통령을 만나고 나서 사안별 협력의사를 분명히 한 바 있는데다 복당파동을 겪으면서 이 대통령에 대한 불신의 벽만 높였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2일 "우리는 여전히 믿을 수가 없다"면서 "지금까지 왜 그렇게 일괄복당이 안된다고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로 예정됐던 박 전 대표와 친박인사들간의 대규모 회동은 복당을 축하하는 자리로 변하게 됐다.

한편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 등은 일괄복당 방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복당을 포기하고 친박연대에 남아 박 전 대표를 돕겠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 대표는 복당을 원하지않는 몇몇 비례대표 당선자들과 함께 향후 정치행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