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음식쓰레기 처리 거부 '이젠 그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중단 사태가 벌써 1주일째를 넘기고 있다. 이유야 어디에 있든 시민들의 생활과 건강을 담보로 실력행사를 한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대구시가 300t 공공시설 확충 계획을 발표하면서 일부 업자들과 짜고 사전에 의향서를 제출받아 13개 업체의 생계 터전을 빼앗아 버렸다는 것이 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 측의 주장이다. 오해에서 비롯된 판단이라고 생각하지만 처리중단 사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대구시가 증설하려는 음식물 쓰레기 300t의 공공시설은 2013년 해양 투기 금지에 대비해 지금부터 준비를 하자는 것이다. 대구시가 사업 발표 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하고 부족한 점을 보였지만 그렇더라도 마치 비리가 있는 것처럼 매도해서는 더욱 안 된다.

협회 측은 지금부터라도 냉정을 찾아 미래 대구 발전과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중단 사태를 철회해야 한다. 협회 측에서도 법인체를 만들어 자본을 확보하고 대구시가 추진하고자 하는 바이오 식으로 의향서나 제안서를 제출할 경우 똑같은 동등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현재까지 대구시에 의향서를 제출한 업체는 전무하다. 지금부터라도 협회 측이 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할 경우 먼저 공공투자관리센터로 전달이 가능하다는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공공투자관리센터에서 서류 심사때 경제성 효율성 등을 심사할 것이며 여기에 따른 가산점도 2% 이내로 주는 것이 통설로 되어있다. 이 시기를 놓치더라도 제3자 공모때 서류를 제출해도 똑같은 자격을 얻는다는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업체들이 힘을 내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모처럼 대구시가 대구 미래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불신을 버리고 대승적 차원에서 승복해 주기를 간곡히 요구하는 바이다. 대구시 공무원들의 행정 수준을 믿는다면 대승적 차원에서 승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중단을 철회한다면 공무원들도 협회 측에 좋은 감정을 갖게 될 것이다. 어렵고 힘든 직업임을 잘 안다. 그러나 싸워 보자는 식으로 계속 버틸 경우 시민들만 불행해진다.

대구발전연구회 이사장 백승홍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