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내각 인적쇄신…대구경북 역차별 우려

'영남 배제론' 불거져

이명박 대통령이 조만간 내각과 청와대 인적쇄신을 단행할 계획인 가운데 대구경북지역 인사들은 인선 기준으로 제시된 이른바 '영남배제론'을 'TK(대구경북) 배제론'으로 인식하며 역차별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청와대의 경우 칠곡 출신인 박영준 전 기획조정비서관이 최근 낙마한 데 이어 상주 출신인 류우익 대통령실장마저 퇴진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권오을 전 의원 정무수석설'과 '정종복 전 의원 민정수석설'도 잦아들고 있다. 또 이 대통령과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의 15일 회동 이후 '심대평 총리설'이 부상하면서 '박근혜 총리설'이 사실상 물 건너간 상태고, 대안으로 거론되던 '강재섭 총리설' 역시 대구 출신이란 점 때문에 꺾이고 있는 분위기다.

영남배제론 이후 TK 세력 약화 조짐에 대해 한나라당 주호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정권 말 국정원 간부 31명 중 대구경북 출신은 1명뿐일 정도로 홀대당했다"며 "정권 교체 후 덕본 것도 없는 데 영남권 배제론이 웬말"이냐며 비판했다.

한나라당 이철우 의원(김천)은 "영남권 배제론은 특정 세력이 지어낸 측면이 있다"며 TK를 배제함으로써 이득을 얻게 될 여타 지역 정치세력의 음모라고 의심했다.

지역을 따지기보다 능력과 도덕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만섭 전 국회의장은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출신) 비판에 지나치게 신경쓰지 말고 깨끗하고 유능한 사람을 발탁하라"고 이 대통령에게 충고했다.

영남 배제론이 이명박 정부의 통치 기반 상실을 낳을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같은 당 주성영 의원(대구 동구)은 "정권 창출에 가장 크게 기여한 지역을 인재 등용에서 역차별하면 지지 기반을 잃을 것"이라고 했다.

국민 통합을 위해 정권 창출에 주도적 역할을 한 대구경북이 인내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대구 수성구)은 "지금은 TK소외 우려론을 얘기할 때가 아니라 이 정부의 국민 신뢰 회복이 긴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