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세상인들이 왜 代價를 치러야하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생존을 위한 몸부림'으로 촛불 시위 중단과 정부의 강력한 대처를 호소하고 나선 것은 안타깝고도 슬픈 현실이다. 음식업'수퍼마켓협동조합 등 14개 소상공인 및 자영업체 단체 대표들은 어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사회가 혼란에 빠지면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것은 서민경제"라며 "촛불집회 장기화'폭력화로 영세상인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대로 가다간 상인들과 그 가족들이 길거리에 나앉게 생겼다"며 골목 구멍가게에서부터 허리띠를 졸라매고 난국극복에 앞장선 것이다.

세계경제가 앞으로 얼마나 더 고통 받을지 예측조차 하기 힘든 상황에서 한국경제는 지금 비상사태나 다름없다. 하루하루를 벌어 먹고사는 영세상인들은 이런 고통을 가장 먼저 피부로 느낀다. 소비가 바닥권이라는 것을 매일매일 경험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런 판국에 장기 시위로 통행이 불가능할 정도가 됐으니 상가가 견뎌낼 도리가 없다. 오죽했으면 하루벌이에 바쁜 이들이 결집력을 보이면서까지 국민에게 호소하겠는가.

영세상인들은 자유시장경제의 실핏줄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영세업자들의 비율이 높다. 이들의 생계는 곧 한국경제의 바로미터다. 그렇잖아도 빈부격차가 확대됨에 따라 영세업자들은 문을 닫고 빈곤층으로 추락하고 있다. 이들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발목을 잡을 수는 없다.

"시위대의 주장이 옳다고 하더라도 남에게 피해를 주면서까지 목적을 이루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상인들의 호소는 설득력 있다. 이제 우리는 선진 시위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사회 기초질서가 확립되지 않으면 '경제 살리기'는 공염불이란 것을 다시 한번 명심해야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