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독도 이름 뺏기는데 정부는 뭐하고 있나

미국 의회도서관이 독도 관련 도서 분류의 주제어에서 독도를 삭제하고 대신 리앙쿠르 암으로 변경하려던 계획을 보류한 것은 한 한국인 사서의 노력 덕분이었다. 독도 대신 리앙쿠르 암을 '일본해의 섬들'이라는 주제어의 하위주제어로 옮기려던 계획을 유보시킨 것도 마찬가지다. 세계 최대 도서관인 미 의회 도서관의 독도관련 검색 주제어 변경을 한국 정부가 아닌 한 개인이 막아낸 것이다. 이러한 제안이 이미 지난해 12월 미 의회도서관에 제출됐는데도 한국정부는 이를 까마득히 모르고 있었다.

'리앙쿠르 암'이 국민정서상 도대체 허용될 수 있는 이름인가. '독도'는 우리 조상들이 대대로 사용해온 고유 명칭이다. '리앙쿠르'란 조선조 말 서양인으로선 처음으로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포경선의 이름을 딴 것일 뿐이다. 한국의 섬이란 냄새가 없다. 그래서 일본이 독도가 한국의 고유영토임을 희석하기 위해 희망하는 단어나 다름없다.

그럼에도 독도 대신 리앙쿠르 암으로 표시한 인터넷 사이트는 16일 현재 3만8천500여 건으로 지난 2005년 10월 2만2천여 건에 비해 폭증했다. 심지어 미국지명위원회와 미국지리원 같은 기관들조차 리앙쿠르 암을 사용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독도라는 고유지명을 빠른 속도로 잃어가고 있는데도 정부는 나 몰라라 하고 있다. 정부가 고유영토의 명칭 문제를 민간에 맡겨둔 채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못한다면 그 정부는 누구를 위한 정부인가. 정부는 하루빨리 '독도'라는 우리 고유지명을 지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라. 나아가 'Dokdo' 'Tokto' 'tokdo' 'Tok Island' 등 제각각으로 국제적인 혼란을 불러오는 영문표기명도 통일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