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회에서 치러진 제헌헌법 공포 60주년 기념행사가 어려운 경제사정을 감안하지 않은 채 너무 호사스러웠다는 비판 여론이 높다.
고유가·고물가로 민생경제가 어려운데다 국회가 원 구성을 못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1억5천만원을 들여 불꽃축제를 열고, 2억2천만원짜리 열린음악회도 개최했으며 국회의장을 비롯한 경축식 참여 인사 300여명에게는 1인당 9만원짜리 고가 중국요리가 제공됐기 때문이다.
국회 본관 중앙홀에서 치러진 제헌 60주년 경축식은 오전 9시쯤 시작해 1시간 30여분간 음악과 춤, 국악과 서양 음악이 어우러진 볼거리를 제공했다. 식전행사에서는 합창과 타악 공연, 전자현악단의 음악 공연, 퓨전국악팀과 비보이의 합동 공연 등이 펼쳐졌다. 이날 행사에 들어간 비용은 모두 8억6천여만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정가에서는 기념행사도 좋지만 고유가와 독도 분쟁,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등 어수선한 국가 사정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쇠고기 파동, 금강산 여성관광객 피살사건, 일본의 독도 도발사건 등 국가의 긴급현안이 밀려있는데다 고유가·고물가로 인한 민생현안들이 산적해 있다"며 "60돌 제헌절은 아무리 봐도 낯 뜨겁고 부끄럽기만 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국회가 원 구성도 못하고 상임위 없이 '땜질용 특위' 7개로 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그럼에도 국회는 오늘 제헌절 기념식은 물론 기념음악회, 불꽃쇼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또 네티즌들도 "아무리 경축일이라지만 지금 시국에 이런 잔치를 연 것은 지도급 인사들의 생각이 짧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회 공보관실은 "정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제18대 국회의 모습을 다짐하는 의미에서 행사를 기획했다"며 "여의도에서 대규모 인원이 오찬을 할 수 있는 공간은 63빌딩이 유일하며 경축오찬 행사가 열린 국제회의장의 경우 최저메뉴가 8만원선에 달한다"고 해명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