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미분양 아파트 매입 추진 현실성 있나

재원 마련 정부에만 목매

대구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아 경기 침체의 주범으로 지목되자 대구시가 미분양 아파트 매입 검토에 나섰다. 대구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올 가을 이후 점차 줄어든다는 예상이 지배적이기는 해도 여전히 경기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9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급증하고 있는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지역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면서 "주택공사가 일부 매입하고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 대구도시공사를 통해서도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실현 가능성에 전혀 무게를 두지 않고 있다. 도시공사가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는 재원이 없는 데다 매입을 추진한다 하더라도 극소수 물량에 그칠 수밖에 없어 미분양 해소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건설업계는 물론 시 내부에서조차 '도시공사를 통한 미분양 매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공사 역시 400여 가구가 넘는 미분양을 떠안고 있는 데다 미분양 여파로 인해 올해 분양 예정이던 달성군 죽곡 2차단지(2천가구) 및 달성산업단지 내 공공주택(1천200가구), 중구 삼덕동 재개발단지(780가구) 등을 내년 이후로 연기한 때문이다.

마땅한 재원이 없는 것도 실현 가능성을 어둡게 한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지난해 매출이 3천억원 정도지만 지급해야 할 토지보상금을 빼고 나면 재원이 거의 없다"며 "미분양을 매입하려면 기채를 발행해야 하는데 이는 행정안전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또 이 관계자는 "도시공사 정관상 시장 추진 사업을 진행할 수 있어 미분양 아파트 매입에 법적인 걸림돌은 없지만 도시공사 능력으로는 100가구 매입도 어렵고 매입 후 처리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도시공사 재원이 없으면 국토해양부로부터 국민주택기금을 받아 매입할 수는 있다. 하지만 정부로부터 받는 예산 규모가 얼마나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달 말 현재 대구지역 미분양은 2만1천가구며 이중 70% 이상이 중대형이다. 500가구 정도 매입에 필요한 예산은 최소 1천억원 규모에 이른다.

현재 주택공사는 4조원 가량의 국민임대주택 건설 재원을 미분양 주택 매입에 사용하고 있다. 내달부터 준공 전 미분양 매입에 나서는 대한주택보증도 2조원 정도의 사내 유보금을 통해 매입 사업을 펴게 된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