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계수준대학 육성사업 지방대 홀대…공정성 의혹?

이명박 정부 들어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한 첫 번째 대형 국책사업인 WCU(World Class University·세계수준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 과제 선정과정에서 논문실적을 잘못 계산한 기술적인 오류 이외에도 의도적인 불공정과 차별이 개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대학 A교수팀 관계자들은 "'공학분야' '지역단위'로 WCU 사업 공모신청을 했으나, 한국과학재단의 1차 심사과정에서 공학분야가 '생명과학분야'로, 지역단위는 '전국단위'로 바뀌었다"면서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교과부는 WCU사업 공모에 앞서 연간 1천650억원(2012년까지 총 8천250억원 투입)의 예산 중 전국단위 1천250억원과 지방단위 400억원을 분리해 독립된 경쟁체제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미리 공개된 전공패널 심사 기준 역시 생명과학 분야와 공학 분야가 전혀 달랐다.

결국 사업신청자의 당초 계획과는 무관하게 전공분야와 경쟁단위를 자의로 변경했다는 것은 특정팀에 대한 의도적인 불이익을 전제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다.

특히 한국과학재단에서 공개한 WCU사업 공모 참가자 명단을 보면, '공학'인 연구책임교수의 전공을 모두 '치과대학'으로 바꿔 기재해 놓고 있어 심사과정에서의 전공변경을 합리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연구책임교수의 전공까지 바꿨다는 의혹을 높이고 있다.

A교수팀 관계자들은 "사업 신청서 첫 페이지에 연구책임교수의 이름과 소속·부서(학과)가 명기되어 있다"면서 "한 곳도 아니고, 모든 관련 공개자료에 책임교수의 전공이 똑같이 바뀌어 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사업계획서 제출을 마감한 뒤 공고에도 없던 요약본 구술발표 심사를 추가하라는 등의 상식밖의 일처리에 따른 피해 사례는 적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교과부와 한국과학재단은 WCU 사업과제 선정 과정에서 논문실적을 잘못 계산한 것이 드러나자 뒤늦게 이를 인정하고, 이미 선정됐던 과제를 탈락시키고 5개 과제를 추가로 선정하기도 했다.

지역대학 관계자들은 "신뢰하기 어려운 WCU사업 선정 과정을 보면서 비수도권 대학을 차별하거나,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통합을 앞둔 한국과학재단이 특정인들을 밀어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막판 불공정 심사를 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기획탐사팀=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