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우방이 워크아웃을 신청함에 따라 회생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단 채권 금융권에서는 내달 3일 협의회를 열고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개시 여부 결정에 들어가게 된다.
주거래은행인 대구은행은 '우방의 워크아웃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워크 아웃 개시 결정이 쉽게 내려질지는 미지수다.
계열사 지급 보증금액을 포함해 채무 금액이 8천억원을 넘는데다 제2금융권을 포함해 채권단이 40여개에 달해 의견 조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탓이다.
현재 여신 규모가 가장 큰 금융회사는 농협으로 2천800억원 정도이며 우리은행이 800억원, 대구은행이 210억원 정도. 제 2금융권 전체 여신이 4천500여억원에 이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C&중공업은 여신규모가 가장 많고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이 워크아웃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워크아웃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며 "상호 지급 보증이 돼 있는 중공업의 워크아웃 여부가 우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채권단 회의에서 75% 이상의 동의를 받아 워크아웃이 시작되면 우방은 은행권 관리에 놓이게 된다.
채권단은 자금관리단을 파견하고 외부 실사 기관을 선정해 재무구조와 자금흐름, 사업전망 등에 대한 정밀 실사를 진행한다.
또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채권 재조정 방안과 기업개선 지원안 등을 마련한 뒤 채권단 동의를 거쳐 본격적인 기업회생 및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워크아웃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담보물 압류와 경매 등 법적절차에 들어가게 되며 최종적으로 '파산' 처리될 가능성도 있다.
우방 관계자는 "채권단이 워크아웃 동의를 해주지 않으면 남은 방법이 법정관리 신청밖에 없다"며 "이 경우 법원에서도 회생보다는 청산에 무게를 둘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고 했다.
한편, 재무상태만 놓고보면 C&우방의 워크아웃 가능성은 크게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13개 아파트 시공현장 중 이미 8개가 공정률 미달로 대한주택 보증에 사고사업장으로 등록돼 있는데다 보유한 부동산 대부분이 담보로 제공돼 있어 별다른 자산이 없는 탓이다.
또 그룹내 계열사와 상호 지급보증이 돼 있지만 계열사 중 흑자를 내는 기업이 거의 없고 향후 주택 경기 또한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워크아웃 개시에 따른 상당한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채권단 관계자들은 "워크 아웃을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지역 경제나 건설업에 미치는 파장이 상당할 수 밖에 없지만 받아들일 경우 금융권도 상당한 손실이 불가피해 채권단 동의가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미 한달전부터 워크아웃 준비에 들어간 C&그룹이 의사 결정을 늦게 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그룹 관계자는 "채권 금융단이 워크아웃을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그룹 전체가 공중분해될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워크아웃 신청을 미루고 자산매각에 나선 배경도 워크아웃의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했다.
지역 경제계는 워크아웃을 통해 우방의 회생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들은 "우방의 부실은 주택경기 침체도 있지만 C&그룹 타 계열사 부실로 워크아웃 대상이 된 만큼 취약한 대구 경제력을 감안해서라도 회생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정부도 건설업 지원 의사를 밝혔으니 지역 전체 경제 상황을 감안한 판단이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