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2017년 대구 인구는 현재 수준(246만명)으로 정체되는 반면 1, 2인 가구의 증가로 가구수는 11만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대구경북연구원 조득환 책임연구원이 2일 '대경CEO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한 주택 공급과제'에 따르면 대구 인구는 2003년(254만명)을 정점으로 매년 줄고 있지만 혁신도시 건설,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에 따른 인구 유입을 고려하면 2017년 246만명 정도로 추정된다는 것.
반면 가구수는 2007년 87만5천가구에서 매년 9천~1만2천가구가 증가, 2017년에는 98만5천가구로 추정되며 2010년까지는 전체 가구중 4인 가구(25.3%)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2015년부터는 1인 가구(25.9%), 2인 가구(26.5%)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조 연구원은 밝혔다. 이는 1, 2인 가구가 2017년까지 11만 가구 증가하는데 따른 것이다.
가구당 면적과 1인당 주거면적은 2005년 각각 68.6㎡(59만734호, 총 면적 5천545만㎡), 23.2㎡였지만 매년 증가해 2017에는 각각 71.9㎡와 28.9㎡로 증가할 전망이다. 또 2017년 1 주택당 평균 거주 가구수는 1.37가구, 가구원 수는 2.94명으로 집계됐다.
주거면적은 2017년에는 전용 60㎡ 이하가 51.9%(51만2천가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60~85㎡ 이하 32.6%(32만1천가구), 85㎡ 이상이 15.5%(12만3천가구)가 될 전망이다.
이같은 인구 및 주택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택건설 및 주택재정비 사업시 주택 규모별 수요에 대응하고 ▷도시공사, 주택공사는 소규모 주택의 계획적 공급과 재정비 사업을 확대하며 ▷민간 건설업계도 주택시장 변화를 고려한 실수요자 중심의 공급을 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조득환 연구원은 "최근 5년간 건설된 아파트의 규모별 비중은 가구증가 수요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가구 유형에 맞는 주택공급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