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치우고 나서 얘기합시다." "본보기로 놔둘 수밖에 없습니다."
대구의 각 구군마다 불법 투기 쓰레기 처리 문제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부 구에서는 종량제 봉투에 넣지 않고 버려진 쓰레기들을 10일 이상 치우지 않는 '지연 수거제'를 시행해 주민들의 반발을 사는가 하면 다른 구에서는 막대한 인력·예산을 투입해 불법 투기된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1일 오후 대구시 북구 대현동 동대구시장 내 삼거리는 쓰레기 썩은 내가 진동했다. 비닐 봉지에 싸인 생활 쓰레기와 인근 시장·주택에서 쏟아져 나온 것으로 보이는 쓰레기 더미는 1t 트럭 한대분은 돼 보였다. 재래시장을 자주 찾는다는 주부 김혜영(33·여)씨는 "벌써 보름째 쌓여있는 쓰레기더미를 보면 정이 딱 떨어진다. 이런 지저분한 시장 거리에 누가 물건을 사러 오겠느냐"고 짜증을 냈다.
북구청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무단 배출된 쓰레기를 한동안 거둬가지 않는 '지연수거'를 함으로써 경각심을 높일 뿐 아니라 종량제 봉투 사용에 대한 홍보 효과도 있다는 것이다. 북구청 환경관리과 관계자는 "주민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달간 사전 예고했고 냄새가 덜한 동절기에만 지연 수거를 실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인근 주민들은 일부의 몰지각한 행동 때문에 동네 전체가 장기간 피해를 입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상인은 "이런 '본때 보이기'식 행정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며 "지연수거까지 해야 할 정도로 상습적인 불법 투기가 발생하는 곳이라면 감시용 CCTV를 설치해야 할 것 아니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반면 서구청에서는 1년 전부터 '지연수거'를 아예 포기했다. 거리만 지저분해질 뿐 효과가 거의 없다는 판단에서다. 대신 단속을 강화해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법을 택했지만 또 다른 어려움에 부딪혔다. 적발된 불법 투기꾼들의 대다수가 저소득층 노인들이었기 때문. 서구청 관계자는 "과태료 체납 문제가 심각해져 결국은 과태료 부과도 포기하고 계도 중심의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구에서는 인력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동단속반 6명과 기동처리반 18명이 남구 곳곳을 돌면서 불법 쓰레기 투기에 대해 1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남구청 환경관리과 관계자는 "거리에 쓰레기를 방치할 수는 없어 당일 수거를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단속과 관리에 드는 인력부담이 크다"고 하소연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