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의 가슴속에 애잔한 마음으로 남아 있는 국내 가요가 적지 않은데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박시춘 선생이 만든 노래들이다. '비 내리는 고모령'은 대구와 인연이 깊으며, '전선야곡' '이별의 부산 정거장' '전우여 잘 자라' '굳세어라 금순아' 등은 한국전쟁 당시 국민들이 처해 있던 상황을 음악으로 녹여낸 걸작들이다.
그는 1938년 남인수 선생이 불러 큰 반향을 얻은 '애수의 소야곡'을 만들면서 인기를 얻었다. 그가 양복 차림에 나비 넥타이를 맨 채 기타를 연주하고, 남 선생이 애절하게 노래를 부르는 모습이 국민들에게 잘 각인된 것.
3천여 곡의 노래와 악상을 남겨 '한국 가요의 뿌리이자 기둥'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1982년 한국 대중가요 작곡가로는 처음으로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
다만 태평양 전쟁 참전을 독려하는 노래 몇 곡을 작곡,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 포함된 것은 그의 생애 큰 흠이 되고 있다. 경남 밀양 출신이며 본명은 박순동(朴順東)이다. 1996년 오늘 사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