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0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실종 논란을 빚고 있는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재검색을 실시한다. 새누리당은 '대화록 부존재'에, 민주당은 '검색 오류'에 초점을 맞추고 민간 전문위원을 보강해 추가 검색에 나선다. 민간 전문가들은 대화록을 찾지 못하는 원인이 대통령기록관 이관 전 누락 또는 폐기 때문인지, 아니면 비밀문서 암호화, 시스템 운영의 차이 등에 따른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새누리당은 기록물 전문가인 두산인프라코어 김종준 보안실장과 김요식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시스템 전문가를 추천했으며 민주당은 박진우 전 청와대 사회정책비서실 행정관과 민간인 정보통신 전문가 1명과 함께 기록물을 찾아나선다.
여야는 그동안 국가기록원이 시도했던 검색방법과 다른 방식을 적용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관련 발언이 포함된 대화록을 찾는다. 현재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시스템인 '팜스'로 자료 목록들을 다시 검색하는 한편 참여정부가 넘겼다는 e-지원 시스템도 작동시킨다.
22일까지 진행되는 기록 검색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재검색 과정에서 기록물이 발견될 경우에는 국가기록원의 자료 관리 시스템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끝내 대화록을 찾지 못할 경우는 상황이 더욱 복잡해진다. 대화록 부존재에 대한 여야 간 책임 공방이 더욱 거세지는 것은 물론 검찰 수사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여야 열람위원들은 20, 21일 이틀간의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22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최종적으로 보고한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