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연구동 입구에는 울창하게 잎을 피우고 있는 나무들이 있다. 벚나무, 측백나무, 라일락, 사철나무, 그리고 이름을 알 수 없는 꽃나무들이다. 그 중 사철나무가 눈길을 끈다. 땅에서 나올 때는 분명히 두 나무였는데 천천히 서로 감아 오르더니 나중에는 완전히 하나가 되어 가지를 뻗고 나뭇잎을 피우고 있다. 마치 사람 인(人)자처럼.
연리목(連理木)이라는 말이 있다. 맞붙어서 결이 통하게 된 나무를 일컫는다. 화목한 부부, 마음이 통하는 남녀 사이를 상징하기도 하지만 여기의 사철나무는 다르다. 맞붙은 후 한 몸이 되지 못하고 다시 떨어져 각각 자신의 몸통을 가진다.
한 환자가 머릿속에 떠오른다. 25년 전 그의 나이 서른두 살 때 뇌동정맥기형을 수술했다. 뇌출혈을 일으켜 다른 병원에서 수술받고 우리 병원에 왔다. 언어장애와 오른편 마비가 있었고 가끔씩 경련도 했다. 재수술을 해서 남은 기형을 완전히 제거했다. 퇴원 후 한 번씩 절뚝거리며 항경련제를 타러 왔다. 말을 더듬고 오른손 사용이 불편해서 시무룩했다. 몇 년을 그렇게 병원에 다녔다. 오기가 불편하다고 해서 그가 사는 지역의 병원에서 약을 타 먹도록 소견서를 써 주었다.
20여 년이 지난 몇 년 전 그가 다시 왔다. 혼자 온 것이 아니라 전동 휠체어를 탄 아주머니와 함께 왔다. 그들은 부부처럼 보였다. 그의 모습은 한결 깨끗해졌고 얼굴에는 활기가 넘쳤다. 같이 온 아주머니는 무척 똑똑하게 그의 병에 대하여 자세하게 물어서 성의껏 대답해 주었다. 뇌 CT도 다시 찍어 남아있는 기형이 없음을 확인시켰다. 그렇게 몇 년을 같이 병원에 다녔는데 그 모습이 그렇게 보기가 좋았다. 서로가 서로의 병에 대하여 걱정해주고 그의 언어가 서툴러 표현하기가 힘들면 그녀가 거들었고, 그녀의 전동차가 진찰실에 들어오고 나갈 때 머뭇거리면 그가 도왔다.
온전한 인간과 인간이 만나면 연리목은 되어도 사철나무와 같은 한 몸은 되지 못한다. 서로 보강할 부분이 제한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장애인과 장애인이 만나면 한 몸을 만들 수가 있다.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서 완전한 인간이 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신이 인간을 만들 때 완전하게 만들지는 않았다. 서로 부족한 부분을 메워가며 살아가도록 만들었다. 그래서 인간은 모두가 장애인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자신이 장애인이라는 것을 진정으로 인정하고 타인을 온몸으로 껴안아 한 몸이 되려고 하는 사람들은 드문 것 같다. 사람을 표시하는 글자가 '人'자임에도. 내 환자 부부는 사철나무처럼 완전한 한 몸을 이뤄 오래오래 잘 살았으면 한다.
임만빈 계명대 동산병원
신경외과 석좌교수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