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 마루에 앉아 하루를 관음하네 - 박남준(1957~)
뭉게구름이 세상의 기억들을 그렸다 뭉갠다
아직껏 짝을 찾지 못한 것이냐
애매미의 구애는 한낮을 넘기고도 그칠 줄 모르네
긴꼬리제비나비 노랑 상사화 꽃술을 더듬는다
휘청~ 나비도 저렇게 무게가 있구나
잠자리들 전깃줄에 나란하다
이제 저 일사불란도 불편하지 않다
붉은머리오목눈이 한 떼가 꽃 덤불 속에 몰려오고
봉숭아꽃잎 후루루 울긋불긋 져 내린다
하루해가 뉘엿거린다
깜박깜박 별빛만이 아니다
어딘가 아주 멀리 두고 온 정신머리가 있을 것인데
그래 바람이 왔구나 처마 끝 풍경 소리
이쯤 되면 나는 관음으로 고요해져야 하는데
귀 뚫어라 귀뚜라미 뜰 앞에 개울물 소리
가만있자 마음은 어디까지 흘러갔나
-월간 《현대문학》(2011. 10)
----------------------------------------------------
가을은 풍요로운 계절이다. 몬순기후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식으로 하는 쌀을 수확하는 시기이니 더 말해 무엇하랴. 들판의 벼들이 하루가 다르게 익어간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나 보는 사람들 마음은 사뭇 흐뭇하다. 인생도 이런 때가 되면 이와 같은 마음일 것이다.
이 좋은 가을, '버들치 시인'으로 통하는 지리산 악양고을 박남준 시인은 이 풍요로운 가을에 마루 끝에 나앉아 마냥 청승을 떨고 있다. 마치 풍요로운 가을과는 아무 상관없다는 듯 사위어가는 생명들과 적요로운 수작을 부리고 있다. 그러나 그 저의에는 올해도 함께 무사히 지냈다는 안도의 한숨이 깃들어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인생도 이런 때가 되면 이와 같은 마음일 것이다.
가을은 풍요와 적요가 함께하는 계절이다. 지난여름의 맹렬했던 기억과 함께 다가올 긴 겨울을 예감하는 마음속에도 풍요와 적요가 동거한다. 양쪽 다 감사하는 마음이 바탕에 깔려 있다. 어느 나라든 가을에는 감사하는 마음을 바치는 축제를 한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의 도리이자 일말의 염치다. 하늘에 대한, 하늘을 위한, 하늘에 의한.
안상학<시인 artandong@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